/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금융소비자의 이익을 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온라인 방식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오픈뱅킹 2019년 12월 시행
금융권 공동망을 통해 여러 금융회사의 계좌 정보를 한곳에서 조회하고 이체·관리를 할 수 있어 금융거래의 편의성을 대폭 개선
- 마이데이터 2022년 1월 시행
이용자가 자신의 금융자산·거래내역 등을 통합적으로 조회 가능한 개인의 데이터가 집적된 금융플랫폼
스마트폰 사용이 서툴러 예금, 연금, 카드내역 확인을 위해 여러 금융회사를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고령층 등 디지털취약계층이 하나의 은행 영업점에서 자신의 모든 금융계좌를 통합·조회하고 자신이 거래하는 여러 은행의 계좌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인프라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등 다양한 자산관리 서비스도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인증이 복잡해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데, 제가 사는 지역의 A은행 지점이 폐쇄되어 은행업무를 위해 먼 시내까지 이동해야 합니다.
→ 앞으로 근방의 타 은행 영업점에서도 주거래은행 계좌 등에 대해 조회·이체 업무를 할 수 있어, 지역 간 격차에 따른 금융소외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오픈뱅킹 서비스
뱅킹앱, 핀테크앱 외 은행 영업점에서도 자신이 거래하는 여러 은행의 계좌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대상: 만 19세 이상 내국인
- 이용 장소: 전국 11개 은행 영업점(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아이엠뱅크,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은행·산업은행·제주은행은 2026년 상반기 실시 예정
- 이용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은행 영업점 방문 후 오프라인 오픈뱅킹 서비스 가입
- 서비스 종류: 잔액조회, 거래내역조회, 이체
- 서비스 계좌: 수시입출금계좌, 정기성 예·적금계좌
- 수수료: 무료(단, 후속거래에 대해서는 수수료 발생 가능)
■ 오프라인 마이데이터 서비스
마이데이터 사업자 앱 외 은행 영업점에서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가입해 금융자산을 통합조회하고 맞춤형 금융상품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용 대상: 만 19세 이상 내국인
- 이용 장소: 전국 8개 은행 영업점(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기업은행)
- 이용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은행 영업점 방문 후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
- 서비스 종류: 가입, 본인신용정보 전송요구·조회, 대면 상담
- 대상정보: 계좌, 대출, 카드, 보험, 금융투자상품, 연금상품 등
- 수수료: 무료(단, 후속 대면 상담 서비스 등의 경우 일부 비용 부담 가능)
이번 서비스가 포용적 금융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세요
"금융소비자의 이익을 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온라인 방식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오픈뱅킹 2019년 12월 시행
금융권 공동망을 통해 여러 금융회사의 계좌 정보를 한곳에서 조회하고 이체·관리를 할 수 있어 금융거래의 편의성을 대폭 개선
- 마이데이터 2022년 1월 시행
이용자가 자신의 금융자산·거래내역 등을 통합적으로 조회 가능한 개인의 데이터가 집적된 금융플랫폼
스마트폰 사용이 서툴러 예금, 연금, 카드내역 확인을 위해 여러 금융회사를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고령층 등 디지털취약계층이 하나의 은행 영업점에서 자신의 모든 금융계좌를 통합·조회하고 자신이 거래하는 여러 은행의 계좌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인프라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등 다양한 자산관리 서비스도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인증이 복잡해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데, 제가 사는 지역의 A은행 지점이 폐쇄되어 은행업무를 위해 먼 시내까지 이동해야 합니다.
→ 앞으로 근방의 타 은행 영업점에서도 주거래은행 계좌 등에 대해 조회·이체 업무를 할 수 있어, 지역 간 격차에 따른 금융소외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오픈뱅킹 서비스
뱅킹앱, 핀테크앱 외 은행 영업점에서도 자신이 거래하는 여러 은행의 계좌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대상: 만 19세 이상 내국인
- 이용 장소: 전국 11개 은행 영업점(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아이엠뱅크,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은행·산업은행·제주은행은 2026년 상반기 실시 예정
- 이용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은행 영업점 방문 후 오프라인 오픈뱅킹 서비스 가입
- 서비스 종류: 잔액조회, 거래내역조회, 이체
- 서비스 계좌: 수시입출금계좌, 정기성 예·적금계좌
- 수수료: 무료(단, 후속거래에 대해서는 수수료 발생 가능)
■ 오프라인 마이데이터 서비스
마이데이터 사업자 앱 외 은행 영업점에서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가입해 금융자산을 통합조회하고 맞춤형 금융상품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용 대상: 만 19세 이상 내국인
- 이용 장소: 전국 8개 은행 영업점(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기업은행)
- 이용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은행 영업점 방문 후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
- 서비스 종류: 가입, 본인신용정보 전송요구·조회, 대면 상담
- 대상정보: 계좌, 대출, 카드, 보험, 금융투자상품, 연금상품 등
- 수수료: 무료(단, 후속 대면 상담 서비스 등의 경우 일부 비용 부담 가능)
이번 서비스가 포용적 금융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