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0일 머니투데이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교과서, 독재정권 미화 가능성 높다> 제하 기사에 대해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을 미화하는 내용이 실릴 것이라는 주장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9역09-03]의 성취기준 해설은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과 ‘경제 성장 과정’이라는 양자를 서로 갈등 또는 대립 관계로 파악하기보다 함께 진행돼 온 것임을 이해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면서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에 따른 독재화’라는 표현은 해당 성취기준 해설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한 “기존 2009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2011.8.9. 고시)의 중학교 역사 성취기준에서도 ‘자유민주주의의 발전, 경제 성장, 대중문화의 발달과 국제 교류의 확대’를 함께 이해하도록 성취 기준을 구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 시안 내 ‘근대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과 관련한 부분은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해 파악’하는 것으로 성취기준 해설에 ‘조선 후기에 농촌 경제의 변화,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신분제 동요 등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근대 지향적인 움직임이 나타났음을 이해한다’로 제시했다.
이어 “조선 후기에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이 있었음을 학생들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것으로 학계의 연구 성과를 충실히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기사에 인용한 ‘역사 교과서 시안’, ‘역사교과서 성취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이라고 말했다.
문의 : 교육부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 기획팀 044-203-7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