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화학물질 사전승인제, 영업비밀 유출 우려 없다

2018.10.31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화학물질 사전승인제와 관련해 비공개가 필요한 정보는 대체 명칭 등으로 기재할 수 있어 영업비밀의 유출 우려가 없으며, 개정안에 신설된 중대재해 발생 시 작업중지 규정은 자의적인 전면 작업중지 명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노동부는 10월 31일 한국경제 <‘화학물질 사전승인제’ 강행 영업비밀 침해·중복 규제 논란>, 매일경제 <재계 “산업안전법, 영업기밀 외부노출 우려”>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한국경제) 산업계는 영업비밀 유출이 우려된다고 반발했다. 산업계는 핵심 화학물질 자체가 영업비밀인 경우가 많은데다 재료의 명칭 및 성분 공개를 원하지 않는 외국 기업과의 거래가 어려워질지 모른다는 이유로 개정안에 반대해왔다. 또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유해·화학물질을 대부분 신고하고 있어 이번 개정안은 이중규제라고 지적한다.

자의적인 작업중지 명령이 많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현대가 공장 컨베이어벨트에서 사고가 났다고 해서 공장 전체를 멈춰야 하는 건 아니지 않느냐”며…

(매일경제) 경총은 “현행 법령상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 처벌 기준인 ‘7년 이하 징역’도 형법의 업무상과실치사상죄(5년 이하의 금고)보다 높은 편”이라며… 과잉 처벌 소지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부처 설명]

▶ 물질안전보건자료 관련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정보 중 영업비밀로 비공개할 필요가 있는 정보는 고용노동부의 승인을 받아 이를 기재하지 않고 대체 명칭 등으로 기재할 수 있어 영업비밀의 유출 우려가 없음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근로자가 화학제품 사용·취급시에 필요한 정보인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정보, 유해성·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함유량, 응급조치 요령, 폭발·화재·누출 사고시 대처방법 등 총 16가지의 정보로 구성

또한, 외국 기업과의 거래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를 고려하여, 수입화학물질의 경우 MSDS, 구성성분의 명칭, MSDS 비공개정보 승인 심사 등에 필요한 자료는 국외 제조사가 국내 수입자를 대신 할 수 있는 자를 선임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함(안 제113조)

이중규제라는 지적과 관련하여, 화학물질관리법에서는 MSDS를 제출·신고하는 제도는 없어 이중규제로 볼 수는 없음

또한, 환경부에 MSDS 중 일부의 내용을 신고하고 있으나 유해·위험성이 있는 모든 화학제품에 대한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아 환경부의 제출된 자료 활용에 한계가 있음

* 환경부 화학물질관리법(제10조)에 따른 통계조사 대상은 환경부가 정한 유해화학물질은 연간 100kg 이상 및 일반 화학물질 연간 1톤 이상을 취급시 등으로 한정

▶ 중대재해 발생 시 작업중지 관련

이번 개정안에 신설된 중대재해 발생 시 작업중지 규정은, 자의적인 전면 작업중지 명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임

개정안에 따를 때, 중대재해가 발생한 해당 작업과 동일한 작업*에 한해 작업중지 명령을 하도록 하고 있어, 컨베이어벨트 사고를 이유로 자의적으로 공장 전체를 작업중지 할 수는 없음

* 컨베이어벨트 사고 시, 해당 작업: 사고가 발생한 컨베이어벨트 / 동일 작업: 사고가 발생한 컨베이어벨트와 동일한 컨베이어벨트(위험성 추정)

오히려, 사업장 전면 작업중지는 붕괴, 화재·폭발, 위험물질 누출 등 누구라도 사업장 전체의 작업중지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는 경우로 한정한 것임

▶ 사업주 처벌 강화 관련

사업주 처벌 기준을 상향(7년 이하→10년 이하)한 것은 그간 법정형에 비하여 지나치게 낮은 형이 선고되는 경향이 있어 처벌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반영한 것임

문의 :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044-202-7697), 화학사고예방과(044-202-7757)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