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사설 동물보호소 관리기준 마련 위해 실태조사 등 추진

2019.01.14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실·유기동물의 보호 수준 개선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홍보·교육에도 노력하고 있다”면서 “특히 사설 동물보호소 관리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실태조사와 연구용역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1월 14일 한국일보 <연간 10만마리 버려져… 구조해도 절반이 보호소에서 생 마감>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전문가들은 사설 동물보호소에 대한 관리와 규제가 필요하며 근본적으로는 늘어나는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농식품부 입장]

□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자체 직영 동물보호센터 확충 등 유실·유기동물의 보호 수준 개선*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 지자체 직영 동물보호센터 : (2015년) 28개소 → (2016년) 31개소 → (2017년) 40개소

* 유실·유기동물 관리수준 개선 지원 사업 : (2017년) - → (2018년) 7억 5600만원 → (2019년) 11억 5600만원

(지자체 동물보호센터에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비, 유실·유기동물 입양 활성화를 위한 중성화 비용, 구조·보호비 등 지원)

ㅇ 또한, 유실·유기동물의 수를 줄이는 것은 반려동물 문화 성숙을 통한 책임있는 양육 문화 조성이 필수적인 바, 동물 보호 홍보·교육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고, 올해는 근본적 인식 개선을 위한 공익광고 송출 등 홍보를 대폭 강화할 계획입니다.

* 교육·홍보 사업 : (2017년) 8억 500만원 → (2018년) 11억 600만 → (2019년) 18억 1300만원

□ 한편, 유실·유기동물 발생 등으로 인해 생겨난 사설 동물보호소를 제도권 내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실태조사를 포함한 정책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용역기간) 2018년 12월∼2019년 3월(3개월 간), (수행기관) 잘키움 행동치료 동물병원

□ 향후 동물 보호·복지 수준 개선을 위해 사설 동물보호소 관리 기준 마련과 더불어, 유실·유기동물 발생 최소화 및 반려동물 관련 영업 규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차질없이 추진하겠습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팀(044-201-237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