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SOFC 사업, 구체 투자계획 확정 안돼…기술 국산화 적극 지원

2019.02.26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충북 보은과 진천에서 추진중인 SOFC 연료전지 사업은 구체적인 투자계획이 확정되지 않았으며 지난해 말 국내 연료전지는 포스코에너지와 두산 등 국내 기업이 보급해 주요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 정부는 연내 관계부처 공동으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SOFC 연료전지의 기술 국산화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상용화기술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2월 26일 한국경제 <수소발전도 결국…‘외국産 놀이터’>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수소경제 핵심축인 수소발전에 대해 기초기술 확보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기술투자가 부족한 상황임

향후, 수소발전소 보급을 늘릴수록 기술력이 좋은 외국기업의 배만 불려줄 것이라는 우려

[산업통상자원부 입장]

충북 진천 및 보은에 설치 추진중인 연료전지 발전사업은 관련 발전사 등에 확인 결과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확정된 것이 아님

’18년말기준으로 국내에 설치된 발전용 연료전지는 총 307MW이며, 국내 시장점유율 1위는 포스코에너지(182MW)임 (2위도 두산, 125MW)

금년도 신규 설치목표(137MW)에 대하여 업계 수요조사 결과 75% 이상을 국내기업이 설치할 계획으로 파악됨

연료전지 기술별 효율(업계의견 종합)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는 전기만 생산하여 60%대이지만, 인산형연료전지(PAFC)나 용융탄산염연료전지(MCFC)는 전기뿐만 아니라 열까지 생산하여 종합효율은80~90% 수준임

가장 최근에 개발된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는 외국기업이 앞선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나, 국내 다른 복수기업도 독자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이미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였음

정부는 연내 관계부처 공동으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 SOFC 등 연료전지의 기술 국산화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앞으로 국내 기업들이 PAFC, MCFC, SOFC 등 다양한 유형의 연료전지 기술을 확보하여, 설치 환경에 맞춰 보급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음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신산업과 044-203-539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