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농촌 태양광, 비우량 농지 중심으로 보급 추진

2019.05.07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지역에 2030년까지 태양광 10GW를 보급할 계획”이라며 “염해간척지, 유휴농지 등 비우량 농지를 활용해 농촌 태양광을 보급하고, 농업진흥구역 내 우량농지는 적극 보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5월 3일 아시아경제 <산에서 논밭으로 내려온 태양광>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우후죽순 늘어나는 태양광 발전 시설로 우량 농지가 사라지면서 농업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옴 

○ 우량농지 잠식이 불거지는 등 부작용도 적지 않음

[농식품부 설명]

□ 농식품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농촌지역에서 2030년까지 태양광을 통해 10GW를 보급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염해간척지, 유휴농지 등 비우량 농지를 중심으로 농촌 태양광을 보급해 나갈 예정입니다.

* 농촌 태양광 10GW를 보급하기 위해 필요한 농지면적은 약 1.3만ha로 전체 농지(162만ha)의 0.8% 수준임

○ 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지난해 상대적으로 농업생산성이 떨어지는 염해간척지에 대해 일시사용기간을 연장(8년→20)하였으며, 농업진흥지역 밖 설치 전용면적을 확대(1ha→3)한 바 있습니다.

□ 농식품부는 향후에도 농지 내 태양광 시설의 설치를 위해 농업 생산성이 낮거나 영농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을 우선 활용토록 하고, 농업생산기반 정비 지역 등 우량농지는 적극 보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현재 태양광 시설은 농업진흥구역에서 설치할 수 없는 행위로 규정하여 우량농지 등은 최대한 보전하고 있으며,

○ 농업진흥지역 밖 농지라 하더라도 농지를 전용함에 있어 사업의 적합 여부, 전용 면적의 적정성, 해당 농지의 보전 필요성, 인근 농지의 피해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재생에너지팀(044-201-291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