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신축공동주택 라돈 조사, 시범조사 개념…저감방안 지속 추진

2019.09.27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이번 ‘신축공동주택 라돈 조사’는 신축공동주택의 라돈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실시한 시범조사 개념으로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공동주택 라돈의 실태파악과 영향 최소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9월 27일 조선일보 <설마 우리집도 ‘라돈 아파트’? 신축 10곳 중 6곳이 기준 초과>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① 환경부가 신축 공동주택(아파트)을 대상으로 라돈 실태조사를 한 결과, 아파트 9개 단지 60가구 중 37가구(62%)에서 권고기준(148 Bq/m3)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남

② 현행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이후 사업승인이 난 아파트는 200 Bq/m3, 올 7월 이후 난 아파트는 148 Bq/m3의 권고기준이 있을 뿐, 건설사가 기준을 어겨도 별다른 조치를 할 수 없음

[환경부 설명]

①에 대하여 : 동 조사는 60세대 시범조사로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음

동 조사는 신축공동주택의 라돈 노출 실태파악 및 저감방안 마련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국립환경과학원이 위탁용역으로 실시한 사전단계로서의 시범조사임

현재 건설사의 측정·공고 의무가 발생하지 않아 국내 자료가 다소 부족한 신축공동주택의 라돈 실태를 확인하고,

향후 공동주택의 라돈 관리 및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추진 방향설정 시 고려할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취지였음
 ※ ‘실내공기질관리법’의 권고기준은 148 Bq/m3로, 2018년 1월 1일 이후 사업계획을 승인받은 신축공동주택의 시공자는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여 주민 입주전에 공고·게시할 의무가 있음(라돈은 자연발생 기체의 특성상 현행 권고기준 대상임)

동 조사는 시범조사의 특성상 한정적인 기간·비용으로 추진되었으며, 이에 따라 60세대라는 제한적인 표본 수, 서울·경기 위주의 지역적 편중, 라돈 검출 관심 아파트 입주예비자의 참여 등 한계가 있어, 전국의 공동주택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한 것으로 보기는 어려움

아울러, 밀폐조건 외에 환기설비* 가동조건에서는 라돈 농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음
 * 「건축법령」, 「주택법령」에 따라 ’06년 이후 100세대 이상 신축공동주택은 시간당 0.5회 이상 환기성능의 환기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음

②에 대하여 : 환경부는 공동주택 라돈 저감·관리 방안을 지속 추진 중

환경부는 금번 조사와 별도로 올 겨울에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2,000세대)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전국 공동주택의 라돈 노출 실태를 파악할 계획임
 * 조사계획 수립(∼8월), 지자체 설명회 실시(8.8), 현황파악 및 조사대상 선정(∼10월) 진행 중으로, 11월부터는 각 세대에 검출기를 설치, 측정 예정
 ※ 라돈 농도는 실내·외 온도차 및 압력차가 크고 자연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겨울철(11∼2월)에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또한, 금번 보도된 조사에서 확인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신축공동주택의 건축자재별 영향 분석(’20), 오염원별 라돈 저감·관리방안 마련(‘20~) 연구를 추진할 예정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 관련, 관계부처* 합동으로 검토한 연구용역 결과 등을 토대로 건설사에 건축자재 라돈 저감·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여 라돈 발생을 사전에 최소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
 * 국무조정실, 환경부, 국토교통부, 원자력안전위원회
 ※ 현재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가이드라인(안)에 대하여 전문가, 업계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진행 중(∼10월)

또한, 한국환경공단을 통해 라돈 노출에 취약한 주택 등에 대해 라돈 무료측정 및 저감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 라돈 노출에 취약한 주택, 마을회관 등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실내 라돈 농도를 무료로 측정, 고농도 시 알람기 보급, 저감시공 등 저감 컨설팅을 제공(’19년 기준 1,000세대)

이번 연구를 통해 환기설비 가동시 라돈 농도가 크게 저감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환기의 중요성에 대해 적극 홍보할 예정

문의: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 044-201-6767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