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노동부 "민간재해예방기관, 산업재해 예방 업무 충실히 수행토록 철저 관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민간재해예방기관이 산업재해 예방 업무를 충실히 수행하도록 철저히 관리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17일 KBS <산재 예방 하겠다더니…허위 '안전 컨설팅' 무더기 적발>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노동부 설명]

<안전보건관리 체계구축 컨설팅 사업 관련>

□ 해당기관은 '24년 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 컨설팅*(건설업)에 참여하였으나, 컨설팅 허위수행** 사실이 적발되어 계약해지 및 수수료 환수, 사업 참여 배제('25년) 등 제재처분을 완료하였음

* 안전보건 전문가가 사업주·근로자 교육, 현장 순회점검, 유해·위험요인 발굴·개선 등 중소사업장이 안전보건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방문 컨설팅 실시('24년 2.7만개소)

** 건설업의 경우 1개 업체당 본사 3회, 현장 4회 등 총 7회 컨설팅 실시 → 동 업체는 현장을 가지 않고 본사만 7회 컨설팅 실시(105회 중 28회 부적정)

□ 한편, 우리부는 올해 컨설팅 질 제고를 위해 관리체계를 전면 개편하였음

① 全 컨설팅 수행기관 대상 불시 현장점검 신설

② 컨설팅을 받은 모든 사업장 대상 모니터링 실시(컨설팅 기간 내 1회, 종료 후 1회)

③ 컨설팅 수행기관에 대한 평가기준* 및 결과 환류** 강화 

* 유해·위험요인 개선 등 컨설팅 내용 적정성 배점 확대(350점→550점/1,000점 만점)

** '24년 C·D등급 60개 기관 중 8개소(13%)만 '25년 수행기관으로 선정 (해당기관은 계약해지로 인해 컨설팅 수행기관 평가등급 미부여)

④ 컨설팅 시 요구사항의 개선여부,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지속적 이행 여부 점검을 위한 사후지원 신설('25년 5백개소 → '26년 2천개소)

□ 앞으로도 컨설팅이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컨설팅 수행기관의 선정, 운영관리, 평가 등 단계별로 철저히 관리하겠음

<건설재해 예방전문지도기관 등 민간재해예방기관 평가 관련>

□ 건설재해 예방전문지도기관 등 민간재해예방기관의 평가는 '산업안전보건법' 제74조 등 법령에 근거한 산업재해 예방 업무 역량을 평가하는 제도임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1조(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평가 기준 등) ① 공단이 법 제74조제3항에 따라 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을 평가하는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인력·시설 및 장비의 보유 수준과 그에 대한 관리 능력

2. 유해위험요인의 평가·분석 충실성 및 사업장의 재해발생 현황 등 기술지도 업무 수행 능력 

ㅇ 평가는 전년도 기술지도 업무수행 내용 전반을 다음 연도에 평가하여 그 결과를 발표(9월말~10월초)하며, 

ㅇ 해당 기관은 그 기관이 기술지도한 현장에서 '24년도 1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하여 '25년도 평가에서 평가결과 "B등급"을 받은 바 있음

* '24.9.10. 충북 괴산군 소재 하천정비사업 현장에서 하천 사면 붕괴로 매몰,다만, '24.11.13. 충북 진천 태양광 설치공사 현장의 추락사고는 해당 기관의 기술지도 이전에 발생한 사고로 평가 반영 대상 아님

□ 정부는 건설재해 예방전문지도기관 등 민간재해예방기관 역량 향상을 위해 평가제도를 지속적으로 내실화해 나가고 있음

① 건설재해 예방전문지도기관 평가 시 산업재해 발생 관련 지표 배점을 상향하고, 행정처분을 받는 등의 불량기관은 낮은 등급을 받도록 하는 등 평가체계를 개편하는 한편,

* ▲건설재해 예방전문지도기관 산업재해 발생 관련 지표 배점 상향 ('24년 200점 → '25년 250점)

▲민간재해예방기관이 행정처분을 받으면 평가등급 하향(예시: C등급 → D등급 등)

② D등급 기관 등 부실기관에 대해서는 기관과 위탁사업장을 병행 점검, 정부 사업 참여 배제 등을 통해 경각심을 제고하고 있음

□ 향후에도 민간재해예방기관들이 산업재해 예방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컨설팅 등 정부위탁 사업의 수행 결과를 평가에 반영하는 등 평가의 효율화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음 

문의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예방정책관 산재예방지원과(044-202-8930), 안전보건감독국 건설산재예방감독과(044-202-8937), 산업안전예방정책관 산업안전기준과(044-202-885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