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평창올림픽, 군중의학적 준비 이렇게 해야한다

2018.01.26 이강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과 교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이강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과 교수
이강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과 교수
올림픽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서는 사고나 다양한 질병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과 같이 수만 명 이상의 대중들이 모이는 경우에는 유행성 독감이나 전염병으로 국제적인 질병 확산이 발생할 수 있으며, 테러나 각종 재해의 발생으로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험과 보건의료 시스템에 대한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대규모 군중집회(mass gathering)에서 사망한 사례는 축구경기 도중 96명이 사망한 힐즈버러 참사나 이슬람 하지 순례지 대규모 군중집회로 뇌수막염 전파발생, 1972년 뮌헨 올림픽과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의 사망사례 등이 있다. 대규모 군중집회에서는 각종 가능한 모든 공중보건 문제에 대해 철저한 사전 준비를 하는 군중의학적 준비가 필수적이다. 

군중의학은 대규모 군중집회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의학적 문제에 대해 사전준비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규모 군중집회는 대개 1000명 이상의 군중이 특별한 장소에 특별한 목적으로 모이는 집회로, 사전에 계획되고 집회를 위해 여러 관계자들이 준비하는 집회를 말한다.

이러한 대규모 군중집회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질환의 규모는 집회의 규모와 발생 양상에 따라 참가자 개인에 국한된 문제에서부터 대규모 재난 상황까지 다양하다. 대규모 군중집회에 대한 발생 가능한 의학적 문제는 심정지 등 개인적 의료문제 뿐만 아니라 전염병, 음식오염에 질환 발생 또는 바이오테러 등에 의한 질병의 확산, 각종 안전사고나 재난이다.

이런 군중의학적 문제는 사전 감시와 예방대책, 문제가 발생하면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서비스 계획이 확실하게 미리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대규모 군중 모임에 대한 군중의학적 준비
 
대규모 군중들이 모일 때 발생 가능한 군중의학적 문제에 대한 대응은 ▲예방단계 ▲대비단계 ▲대응단계 ▲복구단계로 나눠 대비가 필요하다. 첫 번째 예방단계에서는 군중들의 모이는 수나 환경에 대해 가능성이 있는 의료적 문제와 안전과 관련해 예방·대비 및 재난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각종 발생 가능한 의학적 문제에 대해 사전징후를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체계망 구축과 위험요소 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각종 전염성 질환이나 생물테러는 발생을 확인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어려워 빠른 감지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사전에 철저한 감시체계망을 구축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지역 공중보건학적인 대책을 사전에 수립해야 한다. 

둘째, 대비단계에서는 각종 의학적 문제에 대해 인력·자원 및 훈련에 대한 대응계획을 수립한다. 투입 인력에 대한 초기 대응자 훈련을 시행하고 피해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각종 자원을 파악 확보해 사전에 훈련하는 것이다.

동계올림픽은 다양한 종목과 겨울 추운환경에서 진행되고 좁은 공간에 많은 관중들이 모이므로 각종 경기 환경에 따라 관중, 선수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적 문제에 대해 적절한 수의 의료 인력과 의료장비와 시설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대응단계는 응급상황이나 재난이 일어난 후 즉각적인 대응을 하는 단계로 즉각적인 상황의 전파, 구조와 응급의료서비스, 현장지휘소와 대책본부 구성 및 피해자 구조 및 지원 및 공중보건학적인 서비스제공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 복구단계에서는 재난 발생 전의 단계로 회복될 수 있도록 모든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올림픽 참가자들의 협조 필요!

우리의 역사에 길이 남을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지금까지 군중의학적 측면에서 보건의료와 안전에 대해 많은 준비를 해왔다. 올림픽 개막이 며칠 남지 않는 상황에서 각종 가능성이 있는 군중의학적 문제에 대비, 대규모 군중집회 때 발생 가능한 안전 및 의료 문제와 관련해 다시 한 번 철저하게 살펴보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만에 하나 다중 손상이나 재난 또는 전염병 등이 전파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일반 참여 군중들은 진행요원이나 의료진들의 요구에 침착하고 안전한 행동으로 적극 협조해야 한다. 우리 모두가 힘을 합쳐 폐막까지 안전하고 건강한 올림픽이 될 때 성공적인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후세에 많은 올림픽 유산을 남겨줄 수 있을 것이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