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2019년 주택소유통계

2020.11.17 김진 행정통계과장
인쇄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행정통계과장 김진입니다.

'2019년 주택소유통계 작성결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러두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주택소유통계'는 개인 및 가구별 주택소유 현황을 파악하여 주택 관련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개인별 주택소유 현황은 2012년 기준부터, 가구단위는 2015년 기준부터 작성되었으며, 기준시점은 11월 1일입니다.

주택소유통계는 건축물대장, 주택공시가격, 재산세자료 등 주택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의 인구·가구·주택DB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개인이 소유한 주택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국가·지자체·법인·외국인 등이 소유한 주택은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다만, 가구별 소유통계에서는 일반가구를 구성하는 내국인과 함께 거주한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은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주택 소유자가 사망하고 소유권이 미이전된 경우에는 개인소유로 분류하고, 연령별 현황표에서는 사망자를 별도 구분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가구별 소유통계에서 사망자나 장기해외체류자 등이 소유한 주택은 실질적 소유권이 있다고 간주되는 가구로 소유권을 재분류하였습니다.

보도자료에 수록이 된 가구의 주택자산가액은 실제 거래가격이 아닌 2020년 1월 1일 기준의 공시가격을 적용한 결과입니다.

자료 이용사항 유의사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주택소유통계는 주택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주택 이외의 거처를 대상에서 제외하였고 법적 소유권을 적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다음 6페이지에 작성결과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페이지 개인의 주택소유 현황입니다. 2019년 11월 1일 기준 총 주택 수는 1,812만 7,000호로 그중에서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568만 9,000호로 전년보다 2.4% 증가하였고, 총 주택의 86.5%를 차지하였습니다.

개인이 소유한 주택 중에서 아파트는 937만 8,000호로 59.8%를 차지하였고, 이는 전년 903만 1,000호에 비해서 3.8% 증가한 것입니다.

주택소유자는 1,433만 6,000명으로 전년보다 2.3% 증가하였습니다. 주택소유자 기준 1인당 평균 주택소유 건수는 1.09호로 전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페이지 단독 및 공동소유 현황입니다.

개인이 소유한 주택 중에서 단독으로 소유한 주택은 1,373만 2,000호로 87.5%를 차지했습니다. 2인이 공동 소유한 주택은 11.4%, 3인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한 주택은 1.1%를 차지하였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보면 단독으로 소유한 주택은 2.1% 증가하고 공동소유주택은 4.9% 증가하였습니다. 단독소유와 공동소유의 비중은 각각 87.5%, 12.5%로서 공동소유의 비중이 전년대비 0.3%p 증가하였습니다.

8페이지 지역별 개인소유 주택 현황입니다.

총 주택 중 개인이 소유한 주택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울산, 대구, 인천순이며 낮은 지역은 세종, 전남, 강원순이었습니다.

전년대비 개인소유 주택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 경기, 강원, 충북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0페이지 주택소유지별 소유자의 거주지 현황입니다.

개인이 소유한 주택 중 주택소재지와 동일시도 내의 거주자가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86.5%로 전년과 동일했습니다. 지역별 관내인 소유비중은 울산, 부산, 전북순으로 높았고 세종, 충남, 인천 등은 낮았습니다.

시군구 기준으로 보면 같은 시군구 내에 거주하는 관내인이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75.8%를 차지했습니다. 관내에 있는 소유비중이 높은 지역은 전남 여수, 제주 제주시, 경북 영주시순이고 낮은 지역은 서울 용산구, 인천 중구, 서울 중구순이었습니다.

그다음 13페이지 주택을 소유한 개인의 특성 중에 성·연령별 주택소유자 현황입니다.

주택소유자는 1,433만 6,000명으로 전년 1,401만 명에 비해서 2.3% 증가했습니다. 여성 소유자의 비중은 44.7%로 전년대비 0.3%p 증가하여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의 25.7%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40대, 60대, 30대, 70대순이며 40~50대가 전체 소유자의 48.8%를 차지했습니다.

14페이지 거주지역별·성별 주택소유자 현황입니다.

지역별 주택소유자는 경기 345만 명, 서울 248만 명, 경남 103만 명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모든 지역에서 소유자 수가 증가했으며,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 경기, 충북, 강원순이었습니다.

15페이지 주택 거주지별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 현황입니다.

주택소유자 1,433만 6,000명이 소유한 주택 수는 1,568만 9,000호이며 전년 주택소유자 기준 1인당 평균 주택소유 주택 수는 1.09호로 전년과 유사했습니다.

16페이지입니다.

거주지역별 소유물건수별 주택 소유자 현황입니다.

주택 1건 소유자 비율은 84.1%로 전년대비 0.3%p 감소했습니다. 2건 이상 소유자는 15.9%로 전년대비 0.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주지역별로 2건 이상 소유자 비중이 높은 지역은 제주, 세종, 충남순이며, 낮은 지역은 인천, 광주, 대구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주지 기준 주택소유자 중 2건 이상 주택소유자 비중이 높은 시지역은 서울 강남구, 제주 서귀포시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군지역으로는 충남 서천군, 전남 영광군, 전북 고창군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8페이지, 가구의 주택소유 현황입니다.

2019년 1월 1일 기준 총 주택 1,812만 7,000호 중에서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570만 1,000호로 86.6%를 차지했고, 전년에 비해서 2.4% 증가했습니다.

가구가 소유한 주택 중 아파트는 938만 5,000호로 59.8%를 차지했고 전년에 비해서 3.8% 증가했습니다.

일반가구 2,034만 3,000가구 중에서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145만 6,000가구로 전년에 비해서 2.0% 증가했으며,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56.3%로 전년대비 0.1%p 증가했습니다.

주택 소유 가구당 평균 소유주택 수는 1.37호로 전년대비 0.01호 증가했습니다.

19페이지, 지역별 가구의 주택 소유 현황입니다.

전체 주택 중 가구 소유 비중은 86.6%를 차지했고, 가구 소유 주택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울산, 대구, 인천순, 낮은 지역은 세종, 전남, 강원순이었습니다.

20페이지, 거주지역별 가구의 주택소유율입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145만 6,000가구로 전년 1,123만 4,000가구에 비해서 2.0% 증가했습니다. 일반가구의 주택소유율은 56.3%로 전년대비 0.1%p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울산, 경남, 경북 등의 순으로 높았고 서울, 세종, 대전순으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인천, 세종, 서울과 대전 등 대도시 지역에서 대부분 전년대비 감소했습니다.

22페이지, 가구의 특성별 주택소유율입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주택소유율은 70대, 60대, 50대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세 미만은 가장 낮았습니다.

전년에 비해 30세 미만, 30대, 60대에서 감소하였습니다.

가구원수별 주택소유율은 1인 가구가 29.2%로 낮으며, 5인 이상인 가구는 75.2%로 높게 나타나 가구원수가 많은 경우 주택소유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대비 가구원수별 주택소유율은 전체 구간에서 증가하였으며, 가구원수별 주택소유 가구 수는 4인 이상인 일반가구 수가 감소하여 4인 가구와 5인 이상인 가구에서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구성별 주택소유율을 보면 1세대 가구는 69.7%, 2세대 가구 67.6%, 3세대 이상의 가구는 79.6%로 평균 주택소유율보다 높은 반면, 1인 가구 및 비혈연가구는 29.2%와 38.7%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부부만으로 구성된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72.8%, 부부와 미혼자녀가구는 72.6%로 높게 나타난 반면, 한부모와 미혼자녀가 함께하는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50.2%로 낮았습니다.

전년대비 모든 세대 형태의 가구에서 주택소유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25페이지, 가구주의 연령·가구원수 및 세대구성별 분포입니다.

주택소유 가구는 가구주 기준 50대 연령층 비중이 26.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0대, 60대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원수별로 보면 2인 가구 비중이 31.1%로 가장 높고 3인 가구, 4인 가구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구성별로는 2세대 가구비중이 54.3%로 가장 높고, 2세대 가구 중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전체의 38.4%를 차지했습니다.

26페이지, 주택 소유물건수별 가구 현황입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주택을 1건만 소유한 가구는 72.3%, 2건을 소유한 가구는 20.1%, 3건을 소유한 가구는 4.8%를 차지하였습니다.

전년대비 1건 소유한 가구는 1.7% 증가하였고, 2건 이상 소유한 가구는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주지역 및 주택 소유물건수별 가구 현황입니다.

2건 이상 주택소유 가구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제주, 세종, 충남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8페이지, 주택소유의 자산가액별 현황입니다.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가구당 주택자산가액별 현황을 보면, 3억 원 이하인 가구가 73.1%를 차지했습니다. 주택자산가액이 3억 원~6억 원인 가구의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61호, 6억 원~12억 원인 가구는 2.18호, 12억 원을 초과하는 가구는 3.63호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9페이지, 주택자산가액 기준 10분위별 현황입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자산가액은 2억 7,500만 원, 평균 주택은 86.4㎡이고 평균 가구주의 연령은 55.8세, 평균 가구원 수는 2.74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자산가액 기준 10분위별 현황을 보면, 상위 분위로 갈수록 평균 소유 주택 수, 주택 면적, 가구원 수 모두 늘어나는 경향을 보입니다.

10분위의 평균 주택자산가액은 11억 300만 원, 평균 소유 주택 수는 2.55호, 가구 소유의 평균 주택 면적은 120.9㎡였습니다. 반면, 1분위의 평균 주택자산가액은 2,700만 원, 평균 소유 주택 수는 0.97호, 가구 소유의 평균 주택 면적은 62.0㎡로 나타났습니다.

가구당 주택자산가액 기준 10분위별 주택소유 가구의 특성을 가구주 성별 기준으로 보면 남성은 10분위에서 가장 많은 구성비인 7.9%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가장 작은 구성비 2.1%를 보였습니다.

가구주의 연령대별로 보면 50대는 8분위 이상에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30대 미만 연령층은 하위 분위에 많이 분포했습니다.

지역별로 10분위를 보면 서울과 경기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비중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습니다.

다음, 31페이지는 2018년과 2019년의 종단면 분석 결과입니다.

개인별 주택소유 현황의 변화를 보면 2018년 대비 2019년에 무주택에서 주택소유자가 된 사람은 83만 2,000명,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42만 4,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1건 소유에서 2건 이상 소유하게 된 사람은 31만 5,000명으로 나타났고, 2건 이상 소유에서 1건 소유로 변경된 사람은 23만 3,000명이었습니다.

32페이지에 지역별 주택 소유건수 증감 현황입니다.

2018년 대비 2019년도에 주택 소유건수가 증가한 사람은 123만 8,000명이고, 소유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74만 4,000명이었습니다.

인구 대비해서 주택 소유건수 증가자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충북순이고 낮은 지역은 부산, 서울순이었습니다. 인구대비 지역별 주택 소유건수가 감소한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 충남, 충북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4페이지는 연령대별로 주택 소유건수 증감 현황입니다.

주택소유 건수 증가자의 연령별 분포는 30세 미만이 6.6%를 차지한 반면, 30~50대는 각각 2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9년 주택소유 통계 결과 설명을 마치고, 질문이 있으시면 질문을 받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우선 다주택자 비중이 커졌는데 비중... 증가폭만 해도 2018년하고 비교해도 좀 더 커졌더라고요. 그런데 지금 정부 주택정책의 기조가 다주택자를 억제하는 건데 비중이 왜 늘어났는지 좀 궁금하고,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지역 다주택자 비중이 나눠서 2018년과 비교해서 증가폭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궁금하고, 그리고 자산분위별로 보면 평균 주택 소유 수하고 주택자산가액 상승이 다른 분위는 소폭 줄거나 아니면 거의 비슷한 수준인데 10분위만 유독 주택자산가액 상승이 높아요. 이거는 공시가격 상승 때문인 건지, 뭐 때문인지 이것 좀 궁금합니다.

한 가지만 더, 30~40대 주택소유 증가비중이 2018년이나 2017년하고 비교해서 작년에 특히 많이 늘어난 건지 그것도 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답변> 전국 다주택자 관련해서 질문을 하셨는데요. 다주택자가 증가폭 같은 경우에는... 지금 저희 요약 2페이지에 보시면 연도별로 주택을 2건 이상 소유한 자의 비중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숫자가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현재 다주택자가 지금 계속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는 맞고요. 과거에 큰 폭으로 증가를 했었고, 그다음에 2017년 이후로는 그래도 증가폭이 어느 정도 완화가 됐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17년도에는 15.5%, 2018년도에는 15.6%, 2019년에는 15.9%로 2019년 2건 이상 소유자 비중이 2018년도보다 0.3%p 증가하기는 했지만 증가폭은 어느 정도 과거 추세에 비하면 완화가 되었다고 볼 수가 있겠고요. 이것을 저희가 다주택자의 정부정책 억제... 다주택자를 억제하는 정부정책의 효과까지 저희가 언급하기에는 통계결과만 설명을 드릴 수밖에 없어서 효과를 설명드리기는 좀 어렵고요.

그러나 전국적으로는 지금 다주택자 비중... 그러니까 2건 이상 소유자의 비중이 늘어난 것은 전국적으로는 맞지만 지역별로 보면 어느 지역에서는 늘기도 했고 또 어느 지역에서는 감소하기도 하였습니다.

질문 중에 이제 서울과 경기지역 말씀하셨나요? 서울과 경기지역에 대해서 말씀을 하셨지만 일단 지역 설명을 좀 드리면, 소유자 기준으로 2건 이상 주택 소유자 비중이 감소한 지역을 서울 같은 경우에는 강남... 송파구를 제외한 강남 4구에서는 2건 이상 소유자의 비중이 감소를 했습니다. 그리고 세종 같은 경우에도 감소를 했었고요. 그래서 지역별로 보면 투기과열지역으로 이야기되는 지역들에 2건 이상 소유자 비중은 감소를 했다는 것 말씀을 드리고요.

그다음에 주택 개인기준이 아니고 가구기준으로 주택소유 가구에 2건 이상 주택소유 가구의 비중을 보면 서울과 대구, 세종, 충남, 경북 이런 지역에서는 2건 이상을 소유한 가구의 비중은 감소했다는 것을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 정도만 제가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고요.

그다음에 아까 서울과 경기지역에 2건 이상 주택소유자의 비중을 2018년도와 2019년도를 말씀드릴까요? 2018년도 서울 같은 경우에는 2018년도에 15.8%였고요. 2019년도에도 15.8%로 유사하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경기 같은 경우에는 15.3%였고 2019년도에는 15.7%로 나타났습니다.

가구기준으로도 설명을 드리면 가구기준으로는 서울이 2건 이상 주택을 소유한 가구가 2018년도에 27.6%였는데 2019년도에는 27.5%로 0.1%p 낮아졌고, 경기 같은 경우에는 26.4%에서 26.8%로 증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아까 주택분위에서 주택소유 수, 자산가액 그런 부분들이 10분위에서 크게 증가를 했다는 것을 질문을 주셨는데요. 정부에서 주택 공시가격에 대한 현실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있는 와중에서 고가주택에 대해서 좀 더 현실화율을 높게 책정했었고, 그다음에 중저가 아파트에... 중저가 주택에 대해서는 서민부담을 조금 완화시켜주기 위해서 현실화율을 좀 단계적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겠다는 정책들이 지금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고가인 10분위에 해당되... 10분위 정도의 높은 분위에 해당이 되는 아파트... 주택의 가격들이 더 높게 올라간 것으로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30~40대 주택소유자의 증가는 어떤, 어디... 소유자를 말씀하신 건가요? 소유자?

<질문> 주택소유 증가한 사람들 비중 중에서 연령별로 보면 작년에 30~40대 증가가, 30~40대에서 주택소유 증가비중이 높았다고 나왔는데, 그러면 2018년에도 그런 추세가 있었는지, 아니면 2019년만 그런 건지.

<답변> 지금 사실 보도자료 몇 페이지를 보고 말씀하시는 건지 좀.

<질문> 그러니까...

<답변> 종단면 분석 쪽 말씀하신 건가요?

<질문> 34페이지에 보면요. 주택소유 건수 증가자 중에서 30대하고 40대가 높은 비중이라고 했잖아요. 그게 2018년에도 어땠는지 알고 싶어서요.

<답변> 2018년도에도 높았는지? 잠시만요. 2018년도에도 유사한, 유사한 추세였고요.

<질문> 비중을 불러주시겠어요?

<답변> 비중을 말씀드리면 주택소유 건수가 증가한 사람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30대가 27.1%, 40대가 27.0%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었습니다.

<질문> 저도 비슷한 질문인데 4페이지에 부문별 현황,

<답변> 4페이지요?

<질문> 10분위별 현황 있잖아요. 이게 전년도 수치가 있나요?

<답변> 전년도 수치... 전년도 수치가 지금 이 보도자료상에는 없고요. 어떤 부분이 궁금하시면 제가 끝나고...

<질문> 이것 10분위만 주택...

<답변> 10분위만요?

<질문> 네, 2호 이상을 가지고 있는데 저번, 작년에도 같은 유형이었는지, 1~9분위는 다 1.68까지잖아요, 9분위는.

<답변> 네.

<질문> 이게 10분위에 와서 자산가액과 소유주택 수가 경사도가 올라가는데 작년에도 같은 그래프였는지를 보고 싶어서요. 작년 1분위부터 10분위까지 숫자나 그래프가 있으면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일단 끝나고 저희가 보도자료, 2018년 보도자료 있으니까 보여드릴 거고요. 그래도 궁금, 다른 분들도 궁금하실 수 있으니까요. 2018년도의 10분위가 9억 7,700만 원이었고요. 그때 주택소유, 소유주택 수는 2.59호였습니다.

<질문> ***

<답변> 29페이지에요? 29페이지에 2018년 숫자도 같이 있습니다. 제가 질문을 하시니까 보도자료를... 그래서 아마 10분위에서 좀 더 가격이, 주택자산가액이 좀 더 올라가기는 했는데 그래프 모양은 2019년도하고 2018년도하고는 비슷하게 패턴은 그렇게 비슷하게 나오고는 있습니다.

<질문> 저 질문 하나만 더, 10분위 배율은 혹시 안 나오나요?

<답변> 10분위 배율을 저희가 계산해서 보도자료에 실어드리지는 않고요. 10분위 배율은 1분위와 10분위의 평균 주택자산가액을 나누면, 나누시면 구하실 수 있는 거라서 그렇게 사용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구하기 쉽...

<질문> 통계청에서 구하신 수치가 없는지.

<답변> 네, 저희가 구하지는 않았습니다.

<질문> 질문 두 가지만 간단히 드리겠는데요. 29쪽에 10분위 가구의 주택자산가액 비중이 어쨌든 크게 늘어난 게 공시가격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분위가 높아질수록 높았기 때문이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이러한 상승률 외에도 실제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친 점은 없는 건지 궁금하고요.

그다음에 10쪽을 보면 관내인 소유비중이 나오는데 서울이 전년대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더라고요. 그리고 다음 쪽에도 나오듯이 하위 10곳 중에 5곳이 서울인데 이렇게 관내인 소유비중이 줄고 낮다는 것은 어떤 의미로 해석해야 될지 궁금합니다.

<답변> 물론 주택자산가액이 공시지가를 현실화한다는 그런 부분이 실제로 공시지가가 실제 거래되는 가격에 가깝도록 하겠다는 말이기 때문에, 아마도 그 기반인 주택 거래가격이 올랐기 때문일 수도 있겠죠.

그런데 정확하게 여기에서 공시지가를 반영하는데 율이 어떻게 되고 그다음에 그 바탕이 된 매매거래가격이 얼마나 되는지는 저희가 알 수는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어떤 부분이 더 영향을 끼쳤다랄지 이런 부분까지는 말씀드리긴 좀 어렵고, 일단 현실화율 자체에 주택 매매거래가격이 올라갔다, 주택의 시세가 올라갔다, 라는 정도는 짐작은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대로 관내인 소유 비율이 낮다는 의미는 어쨌든 주택이 예를 들면 서울에 있는 주택을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소유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가 되니까요. 주택이라는 것은 꼭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 이외의 지역의 주택을 살 수 있고, 그다음에 서울이나 이런 지역들이 아무래도 주택을 소유하고자 하는 그런 트렌드들이 있으시니까 그쪽이 그렇게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그렇게 추측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저희 자료가 사실은 무슨 의식이나 실태를 파악하는 조사가 아니라 행정자료만으로 파악하는 거라서 정확하게 그 이유나 의미를 설명드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 주택소유 증가에서 30~40대 비중이 높다고 나왔는데 오히려 2018년하고 비교하면 30~40대... 비중은 60대 비중, 그러니까 줄고 60대 이상은 늘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서요.

<답변> 10몇 페이지 보시면서 말씀?

<질문> 제가 정리한 건데 잠시만요.

<답변> 30... 아까 질문 주셨던 33페이지 말씀하시는 건가요?

<질문> 네, 맞습니다.

<답변> 33페이지요? 그러니까 30대와 40대가 비중이 높은데, 질문을 제가 정확하게... 한번만 더.

<질문> 그러니까 주택소유 증가에서 30~40대 비중이 높다고 나오는데 2018년하고 비교하면 30~40대 비중은 줄고 60대 이상 비중이 증가했는데 그 이유.

<답변> 2018년도하고 비교를 해보면요. 그 감소한 것... 그런데 사실 증가하거나 어떤 연령대에서 더 비중은 높지만 그 증가폭이 낮아졌다는 것에 대해서는 증가만 보기는 좀 어렵고 감소를 또 같이 봐야 되는 거잖아요. 뒤페이지에 보면 감소하는 비중들도 있기 때문에, 그래서 이 페이지에서 딱 그 연령대, 어느 연령대에서 비중이 2018년도에 비해서 낮아졌다, 늦어졌다 이런 것들을 설명드리기가 조금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오히려 여기서 증감 이런 것보다도 주택소유자 같은 경우에는 연령대별 주택소유, 13페이지에 보면 주택소유자의 연령대별로 주택소유자 현황이 나오잖아요. 그래서 그 표를 보시는 게 오히려 더 낫지 않을까 싶은데요.

연령대별로 주택소유자의 비중을 보면 전년에 비해서 모든 연령대에서 다 증가했거든요. 그리고 30대에서는 좀 감소했습니다. 30대에서 감소한 이유 같은 경우에는 30대 연령구조적인 이유가 좀 있습니다. 30대가 2019년에 비해서 2018년도에 30대 인구가 감소한 요인이 있고, 그다음에 30대 같은 경우에는 주택을 소유한, 가장 많이 소유한 30대 후반 인구가 40대로, 그다음에 40대로 넘어가면서 주택소유자의 소유율이 낮아졌다고 그렇게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질문> ***

<답변> 소유자의 비중이요, 네.

<질문> 죄송합니다. 하나만 여쭤볼게요. 죄송합니다. 아까 말씀하셨을 때 다주택자 비중이 올해 가구별로 하면 서울은 줄었고 그다음에 개인별로 하면 비슷했다고 그랬잖아요. 똑같았다 그랬잖아요, 비중이. 가구별하고 개인별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답변> 가구... 개인별로는 예를 들면 이런 겁니다. 그러니까 주택을 부부가 공동소유를 하게 되면 주택소유자를 각각 1명, 1명으로 카운트를 하거든요. 그러니까 주택을 1건을 가지고 있었는데 새로운 1건을 구입했을 때 공동소유를 하게 되면 2주택이 2명이 늘어나는 거잖아요. 그런데 저희가 가구별로 집계를 할 때에는 같은 가구 내에 가구원이 같이 공동소유를 할 때는 1건으로 집계를 하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질문> 그러면 ***

<답변> 꼭 그렇지만은 않아서 그것을 엄밀하게 공동소유 비중이 높아지긴 했지만 1건에서 공동소유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런 현상들이 좀 영향을 미칠 수는 있긴 하지만 꼭 그렇다고 지금 설명을 드리기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상으로 브리핑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