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전체 46건
- 적합 46건
- 부적합 0건
- 전체 건수 13,142건
- 적합 건수 13,142건
- 부적합 건수 0건
- 전체 171건
- 적합 171건
- 부적합 0건
- 농·임산물 1건
- 축산물 1건
- 수산물 31건
- 가공식품 등 138건
- 건수 35,690건
- 수입중량 248,623톤
전체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12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16차 방류 오염수 분석 결과 및 방류계획 □ 도쿄전력은 어제(10.28) 17시에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의 핵종 분석 결과와 함께 방류 일정을 발표하였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당 25만 베크렐(Bq)이며, 향후 리터당 1,500베크렐(Bq) 미만으로 해수와 희석하여 방류할 계획입니다.○ 삼중수소 이외 측정·평가 대상 29개 핵종의 고시농도비 총합*은 0.14이며, 자체적으로 분석한 39개 핵종에서도 유의미한 농도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도쿄전력:0.14, 화연:0.13, JAEA:0.12 (배출기준 : 고시농도비 총합 1미만)○ 도쿄전력은 오염수 분석 결과가 배출기준 미만으로 확인됨에 따라, 내일(10.30)부터 16차 방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3.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이번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에 방문하여 IAEA 및 일본 측으로부터, 16차 방류 준비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10월 29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424건과 316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대구 22건, 넙치 17건, 방어 16건, 삼치 13건 전복 13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굴, 바지락 등 3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27건을 선정하였고, 924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대만 꽁치, 일본 돔, 일본 홍어 3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68건을 선정하였고, 266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10월 4주차 베트남 오징어, 세네갈 갈치□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89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대만 꽁치, 러시아 명태·가자미, 미국가자미 등 20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에서 입항한 선박 4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31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경남 상주은모래비치, 경북 장사,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율포솔밭·신지명사십리,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16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0월 3주('25.10.13~10.17) 분석 의뢰한 전국 16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서북해역 4개 지점, 서중해역 8개 지점, 동북해역 7개 지점, 동중해역 8개 지점, 원근해 14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4 베크렐 미만에서 0.090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1 베크렐 미만에서 0.084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8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4~0.090Bq/L, (137Cs) 0.071~0.084q/L, (3H) 6.2~6.8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27일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27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6~6.9(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5(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10.29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11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2~3차 IAEA 확충모니터링 결과 □ IAEA는 올해 2월에 실시한 2차 확충모니터링 및 올해 4월에 실시한 3차 확충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확충모니터링: IAEA 주관하에 제3국의 분석기관이 시료를 직접 채취하도록 하여 IAEA 모니터링 체계의 투명성을 강화한 조치○ 2차 모니터링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포함한 중국·스위스·프랑스 분석기관이 참여하여, K4 탱크 내 오염수와 원전 인근 해양환경 시료를 직접 채취하였습니다.○ 3차 모니터링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포함한 중국·스위스·러시아 분석기관이 참여하여 해수배관헤더 내 오염수를 직접 채취하였습니다.□ IAEA는 각국 기관이 분석한 결과와 일본 도쿄전력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고,○ 모든 기관별 분석 결과는 이상치 판단 기준* 미만이었으며, 기관별 분석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3km 이내 해수 삼중수소 농도: 리터(L)당 700베크렐(Bq) 미만 등□ 우리 정부는 IAEA의 모니터링 활동에 그간 빠짐없이 참여한 것처럼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오염수 방류가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이 없도록 철저히 검증하겠습니다. 3.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 및 후쿠시마 원전을 방문하여, 방류설비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IAEA와 일본 측으로부터 방류 준비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① IAEA 현장사무소 방문□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IAEA는 도쿄전력이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② 원전 시설 방문□ 다음으로, 우리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주요 설비와 시설의 상태 및 방류 준비 상황 등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확인 결과, 이송설비 구역과 전기기기실의 순환·이송펌프, 오염수 유량계와 유량조절밸브 등 설비의 상태에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또한, 도쿄전력 측과 질의응답을 통해 도쿄전력이 현재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며,○ 17차 방류 대상 오염수는 측정·확인용 탱크(K4-A)로 이송 하여, 지난주에 시료채취를 완료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아울러, J9 구역의 일반저장탱크(총 12기) 해체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으며, 현재는 J8 구역(총 9기)의 일반저장탱크 해체를 준비하고 있음을 파악했습니다.* 핵연료파편(데브리) 제거 관련 시설의 건설부지 확보 목적 4. 오염수 정책정보 관련 안내□ 국정자원정보관리원 화재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됐던 「정책브리핑-오염수 정책정보 모아보기」 누리집을 복구하여 운영을 재개하였습니다.○ 그간의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 자료, 해양·수산물 방사능 안전정보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위 누리집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올해 9~10월에 추진한 브리핑 자료 등은 아직 복구 중에 있으며, 후속 작업을 통해 신속히 제공할 계획입니다.□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오염수 관련 정보를 적시에 투명하게 제공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10월 22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21건과 187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갈치 24건, 삼치 18건, 꽃게 15건,방어 13건, 고등어 12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오징어, 삼치 등 5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27건을 선정하였고, 921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10월 3주차 8건(오징어, 삼치, 고등어, 바지락, 미역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중국 아귀, 베트남 새우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66건을 선정하였고, 263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10월 3주차 대만 꽁치, 일본 돔, 일본 홍어□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93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바지락, 삼치 등 18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에서 입항한 선박 6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27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학동흑진주몽돌, 부산 해운대·광안리 등 5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0월 2주('25.10.6~10.10) 분석 의뢰한 전국 5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남중해역 3개 지점, 남동해역 15개 지점, 서북해역 3개 지점, 원근해 11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5 베크렐 미만에서 0.093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5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6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5~0.093Bq/L, (137Cs) 0.075~0.092q/L, (3H) 6.2~6.6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20일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14일에 3개, 10월 20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8~7.0(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2~6.8(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10.22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10차)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이번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에 방문하여 IAEA 및 일본 측으로부터, 16차 방류 준비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3. 오염수 정책정보 관련 안내 □ 이번 국정자원정보관리원 화재로 인해 「정책브리핑- 오염수 정책정보 모아보기」 누리집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다만, 오염수 방류 현황과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지난 10월 1일 브리핑에서 안내해 드린 바와 같이, 이하 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구분사이트명누리집 URL오염수 방류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https://www.kins.re.kr/emitCoursDataKINS수산물방사능 검사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https://www.nfqs.go.kr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방사능안전정보https://www.radsafe.mfds.go.kr□ 우리 정부는 누리집 복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앞으로도 오염수 관련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2025.10.15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9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다음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에 방문하여 IAEA 및 일본 측으로부터, 16차 방류 준비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10월 8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132건과 145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꽃게 15건, 삼치 10건, 황다랑어 7건, 젓새우 5건, 송어 5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러시아 가자미, 베트남 주꾸미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63건을 선정하였고, 261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10월 1주차 중국 아귀, 베트남 새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80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멸치 1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6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20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영일대·장사,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율포솔밭·신지명사십리,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20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9월 4주('25.9.22~9.26)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남서해역 15개 지점, 서남해역 6개 지점, 원근해 16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2 베크렐 미만에서 0.084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3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1 베크렐 미만에서 6.6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2~0.084Bq/L, (137Cs) 0.073~0.092q/L, (3H) 6.1~6.6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30일·10월 1·3·4·5일에 각각 4개, 10월 2·6일에 각각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6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4~8.0(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3(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10.08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8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오염수 15차 방류 종료 □ 도쿄전력은 지난 월요일(9.29) 오후 12시 5분경 9월 11일부터 시작된 오염수 15차 방류를 종료하였습니다.□ 이번 15차 방류 기간에는 총 7,872세제곱미터(m3)의 오염수가 방류되었으며, 방류된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약 1.7조 베크렐(Bq)이었습니다.○ 방류 중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된 시료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ℓ)당 187~288베크렐(Bq)로, 방류 기준치인 리터(ℓ)당 1,500베크렐(Bq) 이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방사선감시기 측정 결과, 해수 취수구에서는 3.2~5.7cps, 상류수조에서는 3.5~5.3cps, 오염수 이송펌프에서는 4.2~5.6cps가 측정되어, 15차 방류가 시작되기 이전의 평상시 수준의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변동이 없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4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766~15,182세제곱미터(m3)로 기록되었으며,○ 오염수 유량과 해수 취수량의 비율이 1 대 800 내외로 유지되는 등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도쿄전력이 15차 방류 기간 중 후쿠시마 원전 인근 3km 이내 해역 10개 지점 및 10km 이내 해역 4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3km 이내 2개 지점에서 삼중수소가 3회 검출*되었으나, 방출 중단 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습니다.* 0~3km 해역 삼중수소 검출(3회) 농도 평균 약 15Bq/L** (0~3km 해역) 700Bq/L, (3~10km 해역) 30Bq/L□ 정부는 앞으로도 철저히 모니터링하는 등 국민의 우려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에 방문하여 IAEA 측으로부터 방류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IAEA는 도쿄전력이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며, 17차 방류 대상 오염수를 측정·확인용 탱크(K4-A)로 이송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4. 오염수 정책정보 관련 안내□ 이번 국정자원정보관리원 화재로 인해 「정책브리핑- 오염수 정책정보 모아보기」 누리집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다만, 오염수 방류 현황과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이하 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구분사이트명누리집 URL오염수 방류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https://www.kins.re.kr/emitCoursDataKINS수산물방사능 검사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https://www.nfqs.go.kr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방사능안전정보https://www.radsafe.mfds.go.kr□ 우리 정부는 누리집 복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앞으로도 오염수 관련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10월 1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99건과 526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꽃게 27건, 갈치 24건, 흰다리새우 17건, 넙치 16건, 삼치 14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아귀, 대구 등 8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16건을 선정하였고, 915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4주차 9건(건멸치, 임연수어, 아귀, 대구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러시아 명태, 일본 홍어, 중국 게 3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61건을 선정하였고, 259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4주차 러시아 가자미, 베트남 주꾸미□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112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문어, 참조기 등 21건, 대만 다랑어, 중국 고등어, 러시아 명태 등 6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4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14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영일대·장사,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율포솔밭·신지명사십리, 전북 변산·선유도, 충남 대천·만리포 등 18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9월 3주('25.9.15~9.19) 분석 의뢰한 전국 18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동중해역 8개 지점, 제주해역 15개 지점, 원근해 20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7 베크렐 미만에서 0.089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4 베크렐 미만에서 0.091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0 베크렐 미만에서 6.7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7~0.089Bq/L, (137Cs) 0.074~0.091q/L, (3H) 6.0~6.7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23·24·26·27일에 각각 4개, 25·29일에 각각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29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4(검출하한치 미만)~23**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6(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10.01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7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이번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를 방문하여, IAEA 측으로부터 15차 방류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9월 24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19건과 357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갈치 18건, 꽃게 14건, 멸치 14건,삼치 11건, 오징어 9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고등어, 건멸치 등 7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07건을 선정하였고, 907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3주차 3건(고등어, 삼치, 건멸치)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인도네시아 새우, 중국 낙지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59건을 선정하였고, 256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3주차 러시아 명태, 일본 홍어, 중국 게□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78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고등어, 전어 등 6건, 러시아 명태·가자미, 중국 다랑어, 대만 청상아리 등 14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4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10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북 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13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9월 2주('25.9.8~9.12) 분석 의뢰한 전국 13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남동해역 4개 지점, 서북해역 7개 지점, 서중해역 8개 지점, 동북해역 7개 지점, 원근해 13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5 베크렐 미만에서 0.085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5 베크렐 미만에서 0.088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6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5~0.085Bq/L, (137Cs) 0.075~0.088q/L, (3H) 6.2~6.6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방류 데이터 설명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방류가 특이사항 없이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리터당 187~288베크렐(Bq)의 삼중수소가 측정되어, 배출목표치인 리터당 1,500베크렐(Bq)을 만족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는,○ 해수 취수구에서 3.2~5.7cps, 상류수조에서 3.5~5.3cps, 이송펌프에서 4.3~5.6cps가 방사선 감시기에 측정되었고,○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3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815~15,182세제곱미터(m3)가 측정되어,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어제까지 방류된 오염수는 총 5,692세제곱미터(m3)였고, 삼중수소 배출량은 총 1조 3,878억 베크렐(Bq)이었습니다. 3.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다음으로,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16·17·19·20·21일에 각각 4개, 18·22일에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17일에 3개, 22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1(검출하한치 미만)~12** 3~10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4~8.7(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9.24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6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IAEA TF 방류 이후 네 번째 방일미션 결과 □ IAEA는 지난주 금요일(9.12)에 방류 이후 네 번째 방일미션(5.26~30)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IAEA 모니터링 TF는 IAEA와 11개국* 전문가가 참여해 `21년 7월에 출범했으며,* 한국, 아르헨티나, 캐나다, 중국, 러시아, 미국, 베트남, 호주, 프랑스, 영국, 마샬제도○ 그간 도쿄전력 방류계획의 안전성,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규제 적절성 등을 점검해 왔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모니터링 TF가 일본 원전 시설을 시찰하고, 도쿄전력 및 원자력규제위원회 등과 면담을 진행하면서,○ 도쿄전력 등 일본 측 기관이 수행 중인 방류 활동 등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모니터링 TF는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 5월 기준으로, 일본의 오염수 방류 활동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일본 측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독립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IAEA의 지속적인 검증 활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3.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 및 후쿠시마 원전을 방문하여, 방류설비의 상태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고, IAEA와 일본 측으로부터 방류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① IAEA 현장사무소 방문□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IAEA는 15차 방류 기간에 해수배관헤더에서 해수와 희석된 오염수 시료를 채취하여 삼중수소 농도를 독립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아울러, IAEA는 도쿄전력이 조만간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K4-C군)를 채취하여 분석할 예정이며,○ 현재 17차 방류 대상 오염수를 측정·확인용 탱크(K4-A군)로 이송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② 원전 시설 방문□ 다음으로, 우리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주요 설비 상태 및 방류 상황 등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확인 결과, 이송설비 구역과 전기기기실의 순환·이송펌프, 오염수 유량계와 유량조절밸브 등 설비의 상태에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또한, 도쿄전력 측과 질의응답을 통해 지난 2월 14일부터 시작된 J9 구역의 일반저장탱크(총 12기) 해체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음을 확인했고,* 핵연료파편(데브리) 제거 관련 시설의 건설부지 확보 목적○ 도쿄전력이 J8 구역의 일반저장탱크(총 9기) 해체 작업을 위해 해당 저장탱크 내의 오염수를 다른 구역 탱크로 이송하고 있으며, 이송 완료 후 해체 작업을 진행할 예정임을 파악했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9월 17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43건과 282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흰다리새우 17건, 삼치 16건, 꽃게 15건,갈치 11건, 넙치 8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전복, 미더덕 등 15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04건을 선정하였고, 900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2주차 16건(주꾸미, 새우, 미더덕, 낙지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일본 명태, 베트남 갑오징어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56건을 선정하였고, 254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2주차 인도네시아 새우, 중국 낙지□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108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멸치, 참가자미 등 13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4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06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장사·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충남 대천·만리포 등 18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9월 1주('25.9.1~9.5) 분석 의뢰한 전국 18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남중해역 15개 지점, 남동해역 11개 지점, 원근해 21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6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63 베크렐 미만에서 0.090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3 베크렐 미만에서 7.0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6~0.092Bq/L, (137Cs) 0.063~0.090q/L, (3H) 6.3~7.0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방류 데이터 설명 □ 15차 방류 개시 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방류가 특이사항 없이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리터당 214~277베크렐(Bq)의 삼중수소가 측정되어, 배출목표치인 리터당 1,500베크렐(Bq)을 만족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는,○ 해수 취수구에서 3.2~4.1cps, 상류수조에서 3.5~4.5cps, 이송펌프에서 4.2~5.6cps가 방사선 감시기에 측정되었고,○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4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778~15,147세제곱미터(m3)가 측정되어,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어제까지 방류된 오염수는 총 2,499세제곱미터(m3)였고, 삼중수소 배출량은 총 6,094억 베크렐(Bq)이었습니다. 3.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다음으로,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11일에 6개, 12일에 8개, 13·14일에 4개, 15일에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15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5~8.4(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6(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9.17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5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15차 방류 오염수 분석 결과 및 방류계획 □ 도쿄전력은 어제(9.9) 17시에 15차 방류 대상 오염수의 핵종 분석 결과와 함께 방류 일정을 발표하였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당 21만 베크렐(Bq)이며, 향후 리터당 1,500베크렐(Bq) 미만으로 해수와 희석하여 방류할 계획입니다.○ 삼중수소 이외 측정·평가 대상 29개 핵종의 고시농도비 총합*은 0.12이며, 자체적으로 분석한 39개 핵종에서도 유의미한 농도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도쿄전력:0.12, 화연:0.12, JAEA:0.11 (배출기준 : 고시농도비 총합 1미만)○ 도쿄전력은 오염수 분석 결과가 배출기준 미만으로 확인됨에 따라, 내일(9.11)부터 15차 방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3. IAEA 해양환경 확증·확충 모니터링 수행 □ IAEA는 지난주 화요일(9.2)부터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양환경을 대상으로 IAEA 확증모니터링(9.2~12) 및 확충모니터링(9.9~10)을 수행하고 있습니다.*(공통점) 도쿄전력 등 일본 측 기관과 IAEA 및 제3국 분석기관이 동일한 시료를 분석하고, IAEA에서 그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평가**(차이점) (확증모니터링) 제3국 분석기관이 도쿄전력의 시료 채취 과정에 입회, (확충모니터링) 제3국 분석기관이 시료를 직접 채취□ 이번 확증모니터링에는 한국(KINS), 스위스, 프랑스 및 IAEA의 분석기관이 참여하여 도쿄전력의 해수, 해저토, 해조류, 어류 시료 채취 과정에 입회하고,○ 확충모니터링에는 한국(KINS), 스위스, 중국, 러시아, 뉴질랜드 및 IAEA의 분석기관이 참여하여 해수 및 어류 시료를 직접 채취합니다.○ 향후 각 기관은 해당 시료들을 각각 분석하여 결과를 IAEA에 제출합니다.○ 이후 IAEA는 일본 등 각국 기관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예정입니다.□ 우리 정부는 그간 대응과 마찬가지로 IAEA가 주관하는 모니터링 활동에 빠짐없이 참여하여,○ 오염수 방류가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이 없도록 철저하게 검증하겠습니다. 4.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이번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IAEA 확증·확충모니터링 활동과 별도로 파견○ 우리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및 IAEA 현장사무소를 방문하여, IAEA 및 일본 측으로부터 15차 방류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9월 10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37건과 338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꽃게 28건, 고등어 17건, 갈치 17건,삼치 14건, 넙치 13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바지락, 오징어 등 1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888건을 선정하였고, 885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1주차 9건(오징어, 대구, 갈치, 가자미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노르웨이 연어, 일본 가리비, 중국 돔 3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54건을 선정하였고, 252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9월 1주차 노르웨이 연어, 중국 돔, 일본 가리비□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78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갈치, 다시마 등 10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5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02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장사·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20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8월 5주('25.8.25~8.29)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남서해역 12개 지점, 서남해역 15개 지점, 원근해 36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2 베크렐 미만에서 0.087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59 베크렐 미만에서 0.090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7.0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2~0.087Bq/L, (137Cs) 0.059~0.090q/L, (3H) 6.2~7.0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8일에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8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9~6.3(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3(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9.10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4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다음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이번 파견 기간에 IAEA 현장사무소와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방류설비의 상태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고, IAEA 및 일본 측으로부터 15차 방류 준비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9월 3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14건과 389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꽃게 33건, 고등어 25건, 갈치 24건,삼치 11건, 멸치 11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꽃게, 아귀 등 10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879건을 선정하였고, 873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5주차 16건(오징어, 장어, 건파래, 갈치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러시아 게, 일본 가리비, 캐나다 가재 3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52건을 선정하였고, 249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5주차 노르웨이 연어, 중국 돔, 일본 가리비□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67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넙치, 오징어 등 21건, 러시아 가자미·명태, 중국 다랑어 등 6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6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597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장사·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20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8월 4주('25.8.18~8.22)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동중해역 4개 지점, 제주해역 15개 지점, 남서해역 3개 지점, 원근해 22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4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1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3 베크렐 미만에서 6.6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4~0.092Bq/L, (137Cs) 0.071~0.092q/L, (3H) 6.3~6.6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26일·27일·29일·30일·31일에 각각 4개, 8월 28일·9월 1일에 각각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9월 1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4~9.0(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3(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9.03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3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오염수 14차 방류 종합 □ 도쿄전력은 지난 월요일(8.25) 오후 12시 1분경 8월 7일부터 시작된 오염수 14차 방류를 종료하였습니다.□ 이번 14차 방류 기간에는 총 7,908세제곱미터(m3)의 오염수가 방류되었으며, 방류된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약 3조 베크렐(Bq)이었습니다.○ 방류 중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된 시료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ℓ)당 352~500베크렐(Bq)로, 방류 기준치인 리터(ℓ)당 1,500베크렐(Bq) 이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방사선감시기 측정 결과, 해수 취수구에서는 3.3~6.2cps, 상류수조에서는 3.5~5.8cps, 오염수 이송펌프에서는 4.3~5.6cps가 측정되어, 14차 방류가 시작되기 이전의 평상시 수준의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변동이 없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23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791~15,184세제곱미터(m3)로 기록되었으며,○ 오염수 유량과 해수 취수량의 비율이 1 대 800 내외로 유지되는 등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도쿄전력이 14차 방류 기간 중 후쿠시마 원전 인근 3km 이내 해역 10개 지점 및 10km 이내 해역 4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3km 이내 1개 지점에서 삼중수소가 1회 검출*되었으나, 방출 중단 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습니다.* 0~3km 해역 삼중수소 검출(1회) 농도 61Bq/L** (0~3km 해역) 700Bq/L, (3~10km 해역) 30Bq/L□ 정부는 앞으로도 철저히 모니터링하는 등 국민의 우려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에 방문하여 IAEA 측으로부터 방류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IAEA는 도쿄전력이 15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며,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를 일반저장탱크에서 측정·확인용 탱크(K4-C)로 이송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8월 27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90건과 372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갈치 22건, 흰다리새우 14건, 고등어 13건, 오징어 11건, 넙치 10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가자미, 북어 등 5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863건을 선정하였고, 858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4주차 4건(북어, 주꾸미, 낙지, 건조톳)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중국 농어, 베트남 갑오징어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49건을 선정하였고, 246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4주차 러시아 게, 일본 가리비, 캐나다 가재□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53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대구, 조피볼락 등 38건, 미국 가자미, 러시아 명태·가자미, 중국 고등어 등 14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5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591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장사·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20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8월 3주('25.8.11~8.15)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서중해역 8개 지점, 동북해역 7개 지점, 동중해역 4개 지점, 원근해 13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5 베크렐 미만에서 0.089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4 베크렐 미만에서 0.091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3 베크렐 미만에서 6.6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5~0.089Bq/L, (137Cs) 0.074~0.091q/L, (3H) 6.3~6.6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3. 일본 인근 공해상 방사능 조사 □ 다음으로 4월에 실시한 일본 인근 북서태평양 공해상 해양 방사능 조사결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세슘134는 리터당 0.00013 베크렐 미만에서 0.00053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0015 베크렐 미만에서 0.00250 베크렐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3.10 베크렐 미만에서 3.22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0013~0.00053Bq/L, (137Cs) 0.00015~0.00250Bq/L, (3H) 3.10~3.22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과 비교하면 훨씬 낮은 수준입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19일·20일·22일·23일·24일에 각각 4개, 8월 21일·25일에 각각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25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1~8.7(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1(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8.27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2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이번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를 방문하여, IAEA 측으로부터 14차 방류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8월 20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20건과 248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흰다리새우 24건, 갈치 12건, 고등어 12건, 삼치 9건, 전어 8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건파래, 건새우 등 6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859건을 선정하였고, 858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3주차 7건(건미역, 건다시마, 갈치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미국 가자미 1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46건을 선정하였고, 244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3주차 중국 농어, 베트남 갑오징어□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97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문어, 양태 등 3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6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586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장사·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20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8월 2주('25.8.4~8.8)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남동해역 12개 지점, 서북해역 7개 지점, 원근해 21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63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1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7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63~0.092Bq/L, (137Cs) 0.71~0.092q/L, (3H) 6.2~6.7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방류 데이터 설명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방류가 특이사항 없이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리터당 352~481베크렐(Bq)의 삼중수소가 측정되어, 배출목표치인 리터당 1,500베크렐(Bq)을 만족했습니다.* 삼중수소 배출관리기준(Bq/L) : 우리나라 40,000, 일본 60,000□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는,○ 해수 취수구에서 3.3~3.8cps, 상류수조에서 3.5~4.0cps, 이송펌프에서 4.3~5.5cps가 방사선 감시기에 측정되었고,○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7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829~15,167세제곱미터(m3)가 측정되어,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어제까지 방류된 오염수는 총 5,694세제곱미터(m3)였고, 삼중수소 배출량은 총 2.47 테라베크렐(TBq)이었습니다. 3.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다음으로,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12·13·15·16·17일에 각각 4개, 8월 14·18일에 각각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18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5~8.2(검출하한치 미만)** 3~10km 이내 총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2(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8.20 국무조정실
- [보도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301차)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1. 인사말씀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2. 전문가 현지 파견 일정 □ 정부는 다음 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로 파견합니다.○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를 방문하여, IAEA 측으로부터 14차 방류 상황 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주요 결과는 추후 브리핑을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1. 인사말씀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8월 13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51건과 362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오징어 18건, 고등어 16건, 갈치 12건, 멸치 11건, 피뿔고둥 10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우렁이, 고등어, 미역 등 1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852건을 선정하였고, 852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2주차 12건(멸치, 고등어, 다시마, 오징어 ,가자미 등) 선정○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태국 주꾸미, 노르웨이 고등어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44건을 선정하였고, 243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8월 2주차 미국 가자미□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65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고등어, 오징어 등 13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5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580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상주은모래비치·학동흑진주몽돌, 경북 장사·영일대, 부산 해운대·광안리, 울산 일산·진하, 인천 을왕리·장경리,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제주 중문색달·함덕, 충남 대천·만리포 등 20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8월 1주('25.7.28~8.1)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검사완료□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지난 브리핑 이후 서남해역 8개 지점, 남중해역 15개 지점, 남동해역 3개 지점, 원근해 34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세슘134는 리터당 0.059 베크렐 미만에서 0.091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63 베크렐 미만에서 0.090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8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134Cs) 0.059~0.091Bq/L, (137Cs) 0.063~0.090q/L, (3H) 6.2~6.8Bq/L○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1. 인사말씀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2. 방류 데이터 설명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방류가 특이사항 없이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리터당 373~499베크렐(Bq)의 삼중수소가 측정되어, 배출목표치인 리터당 1,500베크렐(Bq)을 만족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는,○ 해수 취수구에서 3.3~6.2cps, 상류수조에서 3.5~5.8cps, 이송펌프에서 4.3~5.6cps가 방사선 감시기에 측정되었고,○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3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791~15,184세제곱미터(m3)가 측정되어,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어제까지 방류된 오염수는 총 2,502세제곱미터(m3)였고, 삼중수소 배출량은 총 1조 865억 베크렐(Bq)이었습니다. 3.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다음으로,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5· 6·9·10일에 각각 4개, 8월 7일에 6개, 8월 8일에 8개, 8월 11일에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8월 8·11일에 각각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4.2(검출하한치 미만)~61** 3~10km 이내 총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3~8.1(검출하한치 미만)□ 이상입니다. 2025.08.13 국무조정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