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국민공감 정책을 찾아서

“내게 맞는 ‘문화체육봉사’ 마침내 찾았어요”

문화·예술 분야 재능나눔 실천 위한 매칭 시스템 열려

2015.01.08 위클리공감
인쇄 목록

이선희 씨의 거문고 협연 모습. 문화체육자원봉사 매칭 시스템 개설로 이 씨처럼 재능나눔을 하고자
이선희 씨의 거문고 협연 모습. 문화체육자원봉사 매칭 시스템 개설로 이 씨처럼 재능나눔을 하고자 하는 이들의 활동영역이 더 넓어지게 됐다. (사진=이선희)

거문고 연주자 이선희(여·42) 씨는 최근 후배들과 거문고 중주단을 꾸렸다. 몇 년 전부터 간간이 해오던 재능나눔 활동을 더 활발히 하기 위해서였다.

“거문고를 연주한 지 20여 년, 나이 마흔 살이 된 어느 날이었어요. 문득 ‘내 인생에서 가장 가치 있는 일이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그에 대한 답이 ‘나누는 것’이었어요.” 

자신의 콘서트로 여러 차례 나눔을 실천한 이 씨였지만, 막상 후배들과 연주할 무대는 쉽게 만날 수 없었다. 수소문 끝에 얼마 전 지인을 통해 무대 한 곳을 겨우 확보한 게 전부였다.   

이 씨처럼 딱히 자신의 재능을 나눌 곳을 찾지 못하는 이들을 위한 장이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개발한 ‘문화체육자원봉사 매칭 시스템(http://csv.culture.go.kr)이 그것이다.

문화·예술 분야의 나눔을 실천하고 싶은 사람, 공연장·전시관·도서관·축제 현장 등에서 자원봉사를 하고자 하는 이들, 또 이런 자원봉사자를 필요로 하는 단체가 함께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최근 문화체육봉사 매칭 시스템이 시범운영을 마치고 자원봉사자와 이들을 원하는 단체를 기다리고 있다.

이 시스템은 자원봉사자와 이들이 활동할 곳을 간편하게 연결해주는 온라인 공간으로, 자원봉사 활동에 여러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전국 229개 문화원과 228개 생활체육회 등이 ‘시·군·구 지원센터’가 돼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서울의 한 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이 모(40) 씨는 “요즘엔 재능을 나누고자 하는 분들이 많아 복지관 어르신들에게 좋은 공연을 선사한다”면서 “하지만 복지관 입장에서 택할 수 있는 공연의 폭이 넓지 않아 아쉬움도 있다”고 말해 매칭 시스템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이 씨의 바람대로 문화체육자원봉사 매칭 시스템을 통하면 문화·체육 분야의 시설이나 단체들은 필요한 봉사자들과 쉽게 만날 수 있다. 아울러 봉사활동을 하고자 하는 개인, 동호회, 전문가 등은 자신에게 맞는 맞춤 봉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그룹 커뮤니티 메뉴를 통해 함께 활동할 봉사자를 모집하거나, 다른 그룹과 함께하고 싶은 봉사활동도 제안할 수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매칭 시스템의 시작을 기념해 벌이는 이벤트도 다양하다.

앞으로 1년 뒤 문화체육자원봉사 뉴스의 머리기사를 상상해보는 행사를 통해 우수 응모자에게 상품을 지급한다. 이 행사의 이름은 ‘상상뉴스 댓글 달기 이벤트 - 1년 후 문화체육자원봉사에 대한 즐거운 기사가 난다면 제목은?’이다. 문화체육자원봉사 공식 블로그와 페이스북에서도 이와 연계한 행사를 선보일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온라인 행사 외에 매칭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요 문화시설에 대한 할인 등 자원봉사자를 위한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 매칭 시스템이 문화체육자원봉사의 새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위클리공감]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