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2016 쇼핑관광축제 코리아세일페스타

명동 나갔더니, 크리스마스 이브인줄~

[코리아 세일 페스타] 최대 쇼핑관광축제로 발디딜 틈 없는 명동 거리

2016.10.10 정책기자 신새봄
인쇄 목록

코리아 세일 페스타 열기가 대단하다. 필자가 직접 직장 근처인 명동에 가서 두 눈으로 확인했다. 마치 크리스마스 이브를 방불케했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 홈페이지 화면.
코리아 세일 페스타 홈페이지 화면.

9월 30일 영동대로 일대에서 쇼핑관광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식이 개최되고, 10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 내외국인이 함께 즐기는 55개 문화축제의 장이 마련됐다. 바로 코리아 세일 페스타다.

2015년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를 한층 더 발전시킨 행사로 정부와 유통, 제조, 관광, 문화업계가 함께 만들어가는 행사이다. 

사이버 핫데이 행사.
사이버 핫데이 행사.

9월 29일부터 10월 9일까지 대규모 특별 할인기간이 진행됐다. 오프라인 행사는 물론 온라인 행사까지 가세했다.

지난 4~7일까지 국내 최대 온라인쇼핑 특가전인 ‘사이버 핫데이’ 행사가 펼쳐졌다. 10월 6일은 화장품 등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뷰티데이’로 필자도 한 쇼핑몰 사이트에서 필요한 화장품을 구매했다. 

사이버 핫데이 뷰티데이에 화장품을 구매했다.
사이버 핫데이 뷰티데이.

코리아 세일 페스타 홈페이지(http://www.koreasalefesta.kr/) 내에 사이버 핫데이 참가 업체 링크를 타고 쇼핑몰 페이지로 이동했다. 페스타 전용 쿠폰을 다운받고 각종 제품들을 둘러봤다. 

뷰티데이에 화장품을 구매해 보았다.
뷰티데이에 화장품을 구매해 보았다.

15%, 13% 넉넉한 쿠폰을 받고 필요했던 뷰티제품들을 주문했다. 평소 필요했던 제품들을 코리아 세일 페스타 축제기간을 이용해 알뜰하게 구매했다. 

온라인 쇼핑으로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경험한 필자는 직장에서 가까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겨보았다.  

관광객으로 붐비는 명동 롯데백화점 면세점.
관광객으로 붐비는 명동 롯데백화점 면세점.

필자는 명동 본점 롯데백화점 면세점을 찾았다. 외국인을 위한 페스타 홈페이지(http://www.koreagrandsale.co.kr)에서 쇼핑쿠폰과 프로모션, 참여기업을 확인한 관광객들이 많아서 그런지 발 디딜 틈도 없을만큼 굉장히 붐볐다.

명동의 코리아 세일 페스타 모습.
명동의 코리아 세일 페스타 모습.

본점 롯데백화점 면세점을 나와 명동의 한복판으로 나가보았다. 역시 백화점 밖에서도 코리아 세일 페스타는 이곳 저곳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관광객들도 많았고, 내국인들도 많았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 간판이 걸려있는 매장들은 쉬이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 서울의 대표적인 쇼핑 거리, 강남 가로수길과 이태원 패션거리에서도 쇼핑거리축제가 펼쳐지고 있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통해 평소 보기 힘들었던 다양한 공연과 이벤트를 진행하며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로 붐비는 명동 거리.
코리아 세일 페스타로 붐비는 명동 거리.

서울뿐만 아니라 10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는 내외국인이 함께 즐기는 문화축제의 장이 마련된다. 한달 간 펼쳐지는 55개 문화축제의 향연은 코리아 세일 페스타 홈페이지(http://www.koreasalefest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장기적 관점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축제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첫 시작점이 될 것이다. 실속 있고 차별화된 행사진행을 통해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로 만들어 나간다면 대한민국 대표 쇼핑관광축제로 거듭날 것이다.



 

 

신새봄
정책기자단|신새봄aachooo@chosun.com
정보는 공유죠! 정보력을 길러주는 기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