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국판 뉴딜

과기부, ‘2021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 개최

범부처 통합 성과공유·내년 사업설명 온라인 진행

2021.12.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쇄 목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오후 1시부터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디지털 트윈(복제물) 분야의 올해 사업 성과와 내년 사업 추진방향을 공유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Connect Day)’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동 주관했으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과기정통부 유튜브와 네이버TV 및 NIPA 카카오TV 등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지난 9월 6일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 발표 이후 디지털 트윈 범부처 행사로는 처음 개최된 이번 커넥트 데이에는 국토교통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복건복지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가 동참했다.

행사는 올해 사업성과 보고와 내년 사업설명회 등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소·부·장 기업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해 불량률 개선과 생산비용 절감 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 제조산업 혁신 사업 ▲통신·전력·상수도 등이 지나는 시설인 지하 공동구의 화재·재난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기술 개발 사업 등 올해 과기정통부 사업 성과보고가 이뤄졌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3D 공간 정보 구축 주무부처인 국토부의 ‘디지털 트윈 국토’에 대한 그간의 사업추진 현황과 향후 사업추진 방향에 대한 설명을 비롯해 해수부의 디지털 트윈 스마트 항만 물류 플랫폼 구축 사업, 환경부의 댐·하천 디지털 트윈 물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특히 환경부의 댐·하천 물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은 올해 섬진강 유역에서 실시한 과기정통부의 선도 시범 실증사업을 바탕으로 그 성과를 전국 5대강 유역까지 확산하는 사업이어서 의미가 크다.

이와 함께 디지털 트윈을 의료 분야에 접목해 활용하는 복지부의 ‘메디컬 트윈 기술 개발 사업’,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산림을 관리하기 위한 산림청의 ‘디지털 트윈 포레스트 사업’ 설명도 진행됐다.

제조산업, 산업단지 및 풍력발전 등 다양한 분야로 디지털 트윈을 확산시키기 위한 시범 실증 사업과 디지털 트윈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 사업 등 과기정통부의 내년 사업설명회를 끝으로 마무리됐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디지털 트윈은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뿐 아니라 안전, 의료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분야로 더욱 확장될 것”이라며 “디지털 뉴딜의 대표과제이자 초연결 신산업의 핵심 분야인 디지털 트윈의 성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1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 포스터.
2021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 포스터.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사회기획과(044-202-6133), 정보통신산업진흥원(043-931-508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