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출생미신고 아동,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연계로 조기에 발견

‘사회보장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에서 21일 의결

임시신생아번호나 임시관리번호만 있는 아동 양육환경 확인 가능

2023.08.21 보건복지부
인쇄 목록

정부가 출생 미신고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소재·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

보건복지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주민등록번호 없이 예방접종 통합관리시스템상 임시번호로 관리되는 아동과 아동 보호자의 정보를 ‘e아동행복지원시스템’으로 연계해 출생 미신고 아동의 양육환경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출생미신고 아동의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연계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출생미신고 아동의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연계

e아동행복지원사업은 예방접종미접종, 건강검진미검진, 장기결석, 건강보험료 체납 등 44종의 사회보장 빅데이터를 활용한다. 

이에 위기에 처할 수 있는 아동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위기아동을 조기에 발견·예방할 수 있다. 

주요 내용은 읍면동 담당 공무원이 대상 아동 가정을 방문해 양육환경을 조사하고 필요시 복지서비스 등 연계·제공하며 학대 신고 등을 처리한다.

대상은 18세 미만인 아동으로, 44종의 정보 및 분기별 조사결과 등을 모형(AI)이 학습하거나 이 외 특정위기변수 조건 대상자 등을 발굴한다. 

발굴 규모는 분기별로 총 3만 명(모형발굴 2만 5000명, 기획발굴 5000명)이며, 올해부터 시작된다.

조사 주체는 아동 담당 및 맞춤형 복지 담당자가 협업하는 읍면동 공무원으로 1, 4, 7, 10월 총 네번 분기별로 시행한다. 

e아동행복지원사업 운영 절차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e아동행복지원사업 운영 절차

김기남 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은 “이번 시행령 개정은 주민등록번호 없이 임시번호로 관리되는 아동을 조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를 근거로 출생 미신고 위기아동을 조기에 발견해 아이들이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보건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 급여기준과(044-202-3144), 인구아동정책관 아동학대대응과(044-202-338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