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 지역사회 자립의 꿈을 이루게 되었어요
<사례>
A씨는 거주시설에 입소하여 약 10년간 생활한 장애인으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사회로 자립하게 되었다. 지자체(수행기관)는 A씨의 장애 특성, 건강 등을 고려한 개인별 지원계획을 수립하여 서비스를 연계·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척추 관련 질환 치료 등 건강관리를 위해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및 재활의학과와 연계하여 꾸준한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시설 입소 이후 어머니와의 관계가 소원했으나, 퇴소 후 함께 여행 등 시간을 보내면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을 소개합니다
'지역사회 중심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목표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합니다.
*법적 기반: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및 주거 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27년 시행 예정)
<시범사업 목표>
· '주거+고용+복지' 서비스를 통합 연계하여 장애인의 주거선택권 보장 및 안정적 자립 환경 조성
· 본사업 전환: 시범사업 평가를 거쳐 '27년 본사업 전환 목표
■ 지원 필요도 등을 고려한 3가지 지원유형을 알려드립니다
<지원 지역>
전국 32개 지자체 참여(광역 7개, 기초 25개, '25년 기준)
<유형별 맞춤 지원>
· 집중지원형
- 주거전환, 건강 등 집중 관리
· 자립지원형
- 일자리, 지역 활동 연계
· 자립유지형
- 의사결정 및 재산관리 지원 등
■ 장애인의 안정적인 생활과 일상을 보장합니다
(주거/소득)
· LH 공공임대주택 연계
· 주거환경조성 지원(최대 600만 원)
· 자립정착금 지급(지자체) 및 소득 연계
(활동/일자리)
· 활동지원 추가지원
· 일자리 사업 가점부여
(보건/안전)
· 건강주치의연계
· 의료지원비(40만 원)
· 보조기기 지원(300만 원)
·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및 재산관리 서비스연계
■ 장애인 '자립지원'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① 자립지원 신청(지자체/수행기관 방문)
② 자립조사 및 상담(가정/시설 방문)
③ 개인별 지원계획 수립(개인별 지원회의를 통한 맞춤형 계획)
④ 자립지원위원회 심의(대상자 선정 필요성 및 유형 적합성 심의)
⑤ 최종 선정 및 계획 승인(지자체 결정)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주체적인 일원으로 함께할 수 있도록, 든든한 자립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함께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의 시작입니다!
■ 지역사회 자립의 꿈을 이루게 되었어요
<사례>
A씨는 거주시설에 입소하여 약 10년간 생활한 장애인으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사회로 자립하게 되었다. 지자체(수행기관)는 A씨의 장애 특성, 건강 등을 고려한 개인별 지원계획을 수립하여 서비스를 연계·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척추 관련 질환 치료 등 건강관리를 위해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및 재활의학과와 연계하여 꾸준한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시설 입소 이후 어머니와의 관계가 소원했으나, 퇴소 후 함께 여행 등 시간을 보내면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을 소개합니다
'지역사회 중심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목표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합니다.
*법적 기반: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및 주거 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27년 시행 예정)
<시범사업 목표>
· '주거+고용+복지' 서비스를 통합 연계하여 장애인의 주거선택권 보장 및 안정적 자립 환경 조성
· 본사업 전환: 시범사업 평가를 거쳐 '27년 본사업 전환 목표
■ 지원 필요도 등을 고려한 3가지 지원유형을 알려드립니다
<지원 지역>
전국 32개 지자체 참여(광역 7개, 기초 25개, '25년 기준)
<유형별 맞춤 지원>
· 집중지원형
- 주거전환, 건강 등 집중 관리
· 자립지원형
- 일자리, 지역 활동 연계
· 자립유지형
- 의사결정 및 재산관리 지원 등
■ 장애인의 안정적인 생활과 일상을 보장합니다
(주거/소득)
· LH 공공임대주택 연계
· 주거환경조성 지원(최대 600만 원)
· 자립정착금 지급(지자체) 및 소득 연계
(활동/일자리)
· 활동지원 추가지원
· 일자리 사업 가점부여
(보건/안전)
· 건강주치의연계
· 의료지원비(40만 원)
· 보조기기 지원(300만 원)
·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및 재산관리 서비스연계
■ 장애인 '자립지원'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① 자립지원 신청(지자체/수행기관 방문)
② 자립조사 및 상담(가정/시설 방문)
③ 개인별 지원계획 수립(개인별 지원회의를 통한 맞춤형 계획)
④ 자립지원위원회 심의(대상자 선정 필요성 및 유형 적합성 심의)
⑤ 최종 선정 및 계획 승인(지자체 결정)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주체적인 일원으로 함께할 수 있도록, 든든한 자립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