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학생건강검진’, 이제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하세요

검진 결과,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에서 관리

올해 세종·원주 관내 학생 대상 시범사업 실시

2024.05.27 교육부·보건복지부
인쇄 목록

앞으로 학생건강검진을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검진항목에 교육·상담이 추가되고 검진 결과는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에 입력하여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24일 서울비즈센터에서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 추진단(이하 추진단)’ 회의를 열어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계획을 논의했다고 27일 밝혔다.

학생들이 검강검진을 받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학생들이 검강검진을 받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현재 학생건강검진(초1·4, 중1, 고1) 실시와 관련해 일부 학교는 검진기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는 검진기관 이용에 불편(원거리 등)을 호소하는 등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영유아검진 및 일반검진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관리되고 있지만, 학생건강검진 결과는 학교장이 출력물로 관리하고 있어 검진 결과의 생애주기별 연계·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추진단에서는 학교와 학생·학부모의 불편을 해소하고 검진 결과를 생애주기별로 연계해 본인 주도의 예방적 건강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학교장이 지정한 검진기관에서만 가능했던 학생건강검진을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국가건강검진 지정기관)에서 언제든지 실시할 수 있도록 해 검진기관의 선정 및 이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검진 항목에는 신체 발달상황 외에도 교육·상담 항목을 추가해 검진 때 의사가 비만 및 약물 오·남용 예방 등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실시한다.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개인별 검진 결과 통보서에 기재해 각 가정에서 자녀지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검진 결과는 학생·학부모에게 출력물로 제공하고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에서 관리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 검사 또는 사후관리가 필요한 학생 정보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NEIS)과 연계해 학교에서 사후관리에 활용하도록 한다.

한편, 교육부와 복지부는 올해 하반기 중 세종 및 강원 원주 관내 학교(196교, 3만 5000명)를 대상으로 학생건강검진 개선 방안을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모든 학교로의 전면 확대 시기를 검토하기로 했다.

이해숙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관은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을 통해 그동안 학교 현장과 학부모님들이 겪었던 많은 문제가 해소되길 기대한다”며 “관계기관 및 시도교육청과 적극 협력하여 시범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경택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시범사업을 통해 앞으로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공백 없이 건강검진 기록을 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전 국민의 생애주기별 건강 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문의 :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044-203-6547),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044-202-2828), 국민건강보험공단 학생검진TF(033-736-3588)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