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분기 신규 벤처투자는 전년보다 13.1% 증가한 9조 8000억 원을 기록했고, 벤처펀드 결성은 9조 7000억 원으로 2022년 이후 처음 증가세로 전환됐다.
또한 3분기 벤처투자는 4조 원을 기록했는데, 단일분기로 4조 원 대를 넘은 것은 팬데믹 이후 처음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3분기 신규 벤처투자와 벤처펀드 결성 동향을 1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벤처투자는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특히 3분기 실적이 연간 상승흐름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는 전 분기보다 32%,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8% 증가하며 벤처투자 시장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2 스마트제조 혁신대전'의 한 부스에서 자동화 공정을 시연하고 있다. 2022.12.5(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업력별 투자실적을 보면, 창업 7년 이내 기업과 후기기업 모두에서 투자 증가율이 13.1%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 성장 단계 전반에서 투자 활동이 고르게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올해 1~3분기 9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3% 늘었다. 2022년 이후 감소하던 흐름이 올해 처음으로 반등한 것으로, 민간부문이 전체 출자의 83%를 차지하며 결성 증가를 이끌었다. 연기금·공제회 출자금도 837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한 벤처투자회사·조합의 투자 내역을 분석한 결과, 올해 1~3분기 100억 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비수도권 기업은 13개사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바이오 분야 5개사(셀락바이오, 트리오어, 소바젠 등), 전기·기계·장비 분야 5개사(라이온로보틱스, 넥센서 등)가 포함되며, 기술 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기업들이 대형 투자 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벤처투자와 펀드결성이 모두 두 자릿수 증가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 벤처투자시장 40조원 조성을 위한 '벤처 4대강국 도약 방안'을 연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