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 아이 안전한 먹거리, 쉽게 알 수 없을까?

2022.04.15 정책기자단 강현
인쇄 목록

“아빠, 잘 다녀오세요~ 그리고 올 때 우유 사오세요!” 아이들과 헤어지고 직장으로 향할 때, 아이들은 종종 오늘 사올 품목을 미리 말하곤 한다. 어떤 날은 ‘과자’ 또 어떤 날은 ‘음료수’. 그래서 항상 하루 일과를 마칠 때면 마트에 가는 게 필수 코스가 돼버렸다. 

아이들은 늦은 밤 내가 올 때까지 꾸벅꾸벅 졸면서도 계속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긴 기다림의 끝에 과자와 음료수를 사온 나를 보며 환한 웃음으로 반겨준다. 요새 들어 부쩍 자란 키만큼 먹는 과자와 음료수의 양도 늘어났다. 1일 1봉지는 기본인데, 과연 저렇게 달달한 것들을 많이 먹어도 아이의 건강은 괜찮을지 아빠로서 늘 고민이 깊어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웹툰
아이 간식 안전하게 고르는 방법 웹툰.(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그러던 중 우연히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 작성한 웹툰(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0477)을 보았다. 아이들 간식을 안전하게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주는 내용인데, 마치 나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아 재밌게 읽어 보고, 식품의약품안전처 누리집도 방문해서 내게 필요한 정보를 살펴 보았다.

식약처에서는 아이들이 자주 먹는 기호식품(빵, 초콜릿, 면류, 음료, 어묵소시지, 즉석식품 등) 중에서 안전하고, 영양을 고루 갖춘 제품에 대해 인증을 해주고 있었다. 바로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마크’인데 품질인증 기준에 적합한지 엄격한 심사를 거쳐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품질인증 마크를 부여하고 있었다.

식약처는 지난해 12월 7일 ‘나트륨 당류 저감화 주요 추진사업 및 계획(2021~2025년)’ 자료를 내고 하루 섭취 나트륨을 3000mg 이하, 당을 하루 열량의 10% 인 50g으로 낮추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국내 식음료업체들이 나트륨과 당류를 줄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관련 컨설팅과 기술 지원을 하기로 했다. 

당류, 과다섭취의 위험성
당류, 과다 섭취의 위험성.(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지난해 대한고혈압학회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고혈압환자는 1200만 명이고 고혈압 유병자와 치료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고혈압은 뇌졸중이나 심혈관질환 등 각종 질환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나트륨과 당류에 대한 관리는 사회경제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아이들 역시 과도한 당류를 섭취하게 되면 각종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소아비만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소아비만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식약처의 나트륨 당류 저감화 정책은 꼭 필요하다.

우유 옆면에 표시된 성분표시와 식품안전관리인증마크
우유 옆면에 표시된 성분표시와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마크.


쥬스에 표시된 성분표시
주스에 표시된 성분표시와 식품안전관리인증 마크.


내친김에 오늘은 마트에 직접 가서 나트륨과 당류에 대해서 조사해 보기로 했다. 과자나 음료수 뒷면이나 옆면에는 식품 속에 들어있는 나트륨과 당류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다. 자세히 보아야 보인다고 아무 생각 없이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만 샀었는데, 앞으로는 꼼꼼히 따져보고 제품을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품의 옆면이나 뒷면에는 나트륨, 당, 탄수화물, 지방 등 성분들이 한 봉지 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과 용량으로 표시되어 있었다.

식품안전관리인증 마크
식품안전관리인증 마크.(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또한 제품 중에는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마크를 받은 제품들이 보였는데, 해썹은 식품의 원재료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소가 해당 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이다. 

정부는 지난 1995년 해썹(HACCP)을 도입하고, 1996년부터 일부 제품에 대한 관리 기준을 고시, 식품의 위해 요소를 관리하는 해썹 시스템 적용 체제를 구축했다. 그리고 정부는 2023년까지 전체 식품 생산량 중 해썹 제품을 90%까지 높일 계획이며,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언택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 아날로그 관리 방식에서 디지털 관리 방식으로 전환한 ‘스마트 해썹’을 도입하여 한층 업그레이드된 식품안전관리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마크’ 를 받은 제품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마크’를 받은 제품


어린이 품질인증 마크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마크.(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가 인증한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제품도 찾아볼 수 있었다.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제품이란 해썹 기준에 적합하고, 고열량·저영양 식품이 아닌 제품 등 일정 수준의 안전·영양 조건을 갖춘 식품에 대해서 식약처가 인증한 제품을 말한다.(https://impfood.mfds.go.kr/CFBBB01F02/getCntntsDetail?cntntsSn=463309&cntntsMngId=00032 -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현황) 

국민들의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성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제품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안전, 영양, 식품첨가물 사용에 관한 기준을 모두 통과하여 안전하고 영양을 고루 갖춘 제품들만이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마크’를 받을 수 있는데, 소비자로서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마크를 받은 제품들을 보니 더 신뢰가 가서 안심하고 제품을 살 수 있었다. 

과자를 좋아하는 아이들
과자를 좋아하는 아이들.


어제까지의 나는 아이들 먹거리 속의 나트륨이나 당류에 대한 아무런 생각도 없이, 무심코 아이들이 좋다는 과자를 샀었다. 하지만 오늘부터 나는 제품의 성분을 꼼꼼히 따져보고 나트륨과 당류의 함량이 적은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마크가 있는 과자와 음료수를 우선적으로 사기로 했다. 



정책기자단 강현 사진
정책기자단|강현lawyerkh@naver.com
경주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원을 운영합니다.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모범을 보이기 위해서 항상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