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를 놀라게 한 ‘알파고’를 기억하시나요?
최근 이 알파고를 넘어선 인공지능이 나타나 화제를 모았는데요. 한층 진화한 AI는 어떻게 탄생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이세돌 9단을 꺾었던 인공지능 ‘알파고(알파고 리·Lee)’! 그런데 이 알파고를 100대 0으로 제압한 인공지능이 나타났는데요. 바로 ‘알파고 제로(AlphaGo Zero)’입니다.
알파고는 인간 고수들이 둔 기보 데이터를 학습하는 ‘딥 러닝’과 이를 기반으로 스스로 실력을 쌓는 ‘강화 학습’을 통해 바둑을 배웠습니다. 반면 알파고 제로는 ‘딥 러닝’을 생략하고 ‘강화 학습’만으로 실력을 키웠습니다. 인간의 기보 데이터 없이 혼자 490만 판의 바둑을 둬 세계 최강의 바둑기사들을 넘어선 것입니다.
개발사인 구글 딥마인드는 현재까지 개발한 알파고 시리즈의 엘로(바둑 실력을 수치화한 점수) 점수를 공개했습니다. 참고로 프로 바둑 기사의 평균 점수는 2900점대입니다. 알파고 제로는 알파고 탄생 이후 2년 만의 성과인데요.
이처럼 AI 발달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인류뿐만 아니라 기존의 AI를 능가하는 기술의 진화가 계속될 전망입니다.
인류를 놀라게 한 ‘알파고’를 기억하시나요?
최근 이 알파고를 넘어선 인공지능이 나타나 화제를 모았는데요. 한층 진화한 AI는 어떻게 탄생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이세돌 9단을 꺾었던 인공지능 ‘알파고(알파고 리·Lee)’! 그런데 이 알파고를 100대 0으로 제압한 인공지능이 나타났는데요. 바로 ‘알파고 제로(AlphaGo Zero)’입니다.
알파고는 인간 고수들이 둔 기보 데이터를 학습하는 ‘딥 러닝’과 이를 기반으로 스스로 실력을 쌓는 ‘강화 학습’을 통해 바둑을 배웠습니다. 반면 알파고 제로는 ‘딥 러닝’을 생략하고 ‘강화 학습’만으로 실력을 키웠습니다. 인간의 기보 데이터 없이 혼자 490만 판의 바둑을 둬 세계 최강의 바둑기사들을 넘어선 것입니다.
개발사인 구글 딥마인드는 현재까지 개발한 알파고 시리즈의 엘로(바둑 실력을 수치화한 점수) 점수를 공개했습니다. 참고로 프로 바둑 기사의 평균 점수는 2900점대입니다. 알파고 제로는 알파고 탄생 이후 2년 만의 성과인데요.
이처럼 AI 발달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인류뿐만 아니라 기존의 AI를 능가하는 기술의 진화가 계속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