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일정상회담

추 부총리 “일본과 공급망 이슈 공동 대응”

“신소재 양국 산학연 공동 개발 협력…용인에 글로벌 소부장 기업 유치”

2023.04.18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한국과 일본 양국 공동의 이익이 되는 공급망 분야 협력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으로 형성된 양국관계 회복의 계기를 소부장 경쟁력 강화의 또다른 기회로 활용하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추 부총리는 “우리 경제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소부장 공급망 위기에 대응해 핵심품목의 대일 의존도를 완화하는 등소부장 자립화 기반을 마련했다”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한일관계 경색에 따른 양국 간 협력 감소는 대외 불확실성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따라 양국은 주요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또 첨단·초임계 소재 등 신소재를 양국 산학연이 공동개발하는 등 협력분야를 발굴할 방침이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글로벌 소부장 기업을 유치하는 등 양국의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희토류 국제표준화 전략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추 부총리는 “전기차 모터 등 차세대 산업 핵심소재로 활용되는 희토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원소나 원소 함량 등을 판단할 표준물질이나 분석방법이 부재해 일정한 품질의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희토류 함량 비교의 기준이 되는표준 물질을 정하고 분석 방법도 체계적으로 정리할 계획이다.

아울러 희토류 포함 제품의 성분표기를 명시화해 원활한 재활용이 이뤄질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문의 :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산업경제과(044-215-4530),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실 산업공급망정책과(044-203-4910),중소벤처기업부 상생협력정책관실 상생협력정책과(044-204-792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
한일관계 개선의 중요한 이정표 양자 정상 방문 재개, 한일정상회담 개최 정책포커스 바로가기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