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업지원 공간인 ‘오픈스퀘어-D’가 인공지능 산업 활성화를 위해 광주에 문을 열었다.
이번 광주 개소를 포함해 서울, 부산, 강원, 대전, 대구 등 6개 권역의 지역거점을 확보한 오픈스퀘어-D는 비로소 전국적인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지원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이로서 오픈스퀘어-D에서는 거점지역 기반을 토대로 공공데이터를 적극 활용한 우수사례 공유와 지역 특화 비즈니스 창출 공동프로젝트 참여 등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 |
오픈스퀘어-D 광주가 6일 개소하면서 전국적인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지원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
행정안전부와 광주광역시는 6일 I-Plex광주 본관 1층에 공공데이터 창업지원 종합공간 ‘오픈스퀘어-D 광주’를 개소했다.
오픈스퀘어-D(Open Square-D)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모이는 열린 공간이자, 예비창업자를 발굴해 사업화와 창업까지 지원하는 공공데이터 활용 원스톱(One-Stop) 지원센터다.
앞으로 이곳에서는 데이터 제공과 교육·컨설팅, 투자유치 등 체계적인 창업 및 사업화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광주시는 올해 5월부터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 기반의 산업융합 집적단지와 데이터 플랫폼 구축’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아울러 행정·경제·문화·생활 등 모든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하려는 새로운 시도와 인공지능의 핵심인 데이터와 인재 확보를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오픈스퀘어-D 광주가 설치된 ‘I-Plex광주’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의 기술창업 지원과 지식·정보통신 산업, 벤처기업 등 중소기업 집적시설로, 앞으로 지역의 데이터 기반 창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개소한 오픈스퀘어-D 광주는 I-Plex 광주 본관1층, 136㎡ 규모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공유하는 협업·교류 공간과 지원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매 2년 마다 실시하는 공공데이터 정책 평가에서 3회 연속 1위(2015년, 2017년, 2019년)를 차지한 만큼, 가속화될 범부처 공공데이터 정책 추진으로 지역거점 오픈스퀘어-D의 역할도 부각될 전망이다.
![]() |
I-Plex 광주 본관 1층에 자리잡은 오픈스퀘어-D 광주.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
김성중 행안부 정부혁신기획관은 “인공지능 허브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광주시와 오픈스퀘어-D의 만남이 지역의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 조성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픈스퀘어-D와 지역 데이터 기관간 협업을 통해 공공데이터 기반 혁신창업을 지속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과(044-205-2295), 광주광역시 기업육성과(062-613-4080)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